사회 사회일반

언어파괴에 가장 영향 미치는 매체는 인터넷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의 언어생활' 설문 조사 결과 발표

우리 국민 2명 중 1명은 인터넷이 언어파괴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달 26일부터 나흘간 전국 만 15세 이상 남녀 1,000명을 상대로 실시한 ‘국민의 언어생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6.2%가 언어파괴나 비속어 사용에 가장 영향력을 미친 매체로 인터넷(카페, 게시판 등)을 꼽았다. 방송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25.4%였고, SNS를 지목한 이는 16.2%였다. 신문이라도 답한 사람은 2.2%에 그쳤다.

관련기사



세대별로도 언어 사용에 영향을 끼치는 매체가 달랐다. 청소년의 경우 69.3%나 인터넷의 영향이 크다고 꼽았지만 신문을 꼽은 이는 거의 없었다. 반면 60세 이상 조사에서는 인터넷이 42.1%로 다소 낮았고 방송(43.5%)과 신문(5.6%)의 비중이 높았다.

욕설이나 비속어 사용에 대한 인식도 세대 차가 컸다. 전체 30.6%가 평소 욕설이나 비속어를 사용한다고 했는데 청소년은 4.0%만이 전혀 쓰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반면 60세 이상은 51.9%가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청소년은 욕설 사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9.3%만이 영화나 방송의 영향을 받는다고 봤다. 오히려 주변 선후배나 친구들의 말투(54.7%), 인터넷에서 쓰는 말투(25.3%), 부모 등 주변 성인의 말투(10.7%)에서 더 영향을 받는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