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간접투자 알면 돈이 보인다] 펀드가입 적금처럼 쉽다

증권사등 방문 수익증권 사면 돼<br>주식·채권·혼합형 선택폭은 다양

“펀드요? 그거 돈 많은 사람만 가입할 수 있는 거 아닌가요?” 펀드는 서민들은 접근하기 힘든 상품이라고 오해하는 투자자들도 적지 않다. 큰 돈을 넣어야 하고, 상품구조가 복잡하고, 가입이나 해지하기가 힘들 것 같다는 선입관에 그냥 은행으로 가기 일쑤다. 펀드에 대한 편견이다. 펀드는 은행예금이나 적금처럼 쉽고 간편하다. 다만 예금이나 적금은 은행이 돈을 굴리면서 정해진 이자만 보장해 주지만, 펀드는 자산운용사가 수수료만 받고 고객 대신 돈을 굴리면서 번 만큼 그대로 돌려준다는 차이가 있다. 전문가에게 수수료를 주고 주식투자를 맡긴 후 수익과 손실에 대해선 본인이 책임지는 셈이다. 펀드가입은 간단하다. 증권사나 은행ㆍ종금사를 방문해 펀드에 가입하겠다고 하고 수익증권(펀드투자증서)을 사면 된다. 예금처럼 한번에 많이 살수도 있고, 적금처럼 일정 기간마다 나눠서 살수도 있다. 이렇게 모아진 돈은 판매회사에서 자산운용사를 거쳐 은행 등 수탁회사에 보관된다. 자산운용사가 수탁회사에 주식이나 채권을 사고 팔도록 지시를 하면, 수탁회사는 증권사를 통해 주문을 이행한다. 복잡한 절차를 만든 이유는 판매사나 자산운용사가 고객 돈을 맘대로 쓸 수 없도록 방화벽을 쳐 둔 것이다. 그러나 상품이 다양해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투자하는 대상에 따라 주식형ㆍ채권형ㆍ혼합형 등 여러가지로 나뉘고, 모집기간이 정해져 있는 폐쇄형과 아무 때나 가입할 수 있는 추가형이 다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