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엔저 탓에… 수출기업 63% 경쟁력 약화

무협, "엔ㆍ달러 환율 10% ↑ 제조업 영업익 4조8,000억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상관 없음


최근 엔ㆍ달러 환율이 100엔을 넘어서는 등 엔화약세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해외시장에서 국내 수출기업의 마진감소와 시장점유율 하락이 점차 가시화하고 있다. 엔ㆍ달러 환율이 10% 상승할 경우 국내 제조업의 영업이익은 2012년 기준 4조8,000억원 감소하게 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일 발표한 ‘우리수출 엔저에도 괜찮은가’ 보고서에 따르면 엔화약세로 대일수출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으면서 4월 대일적자가 31억달러로 28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한ㆍ일간 수출상품 경합도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0.481)를 기록했다.


무역협회가 미국, 유럽 등 5대 시장에 진출한 현지 한국기업 124개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엔저영향이 ‘아직 없다’는 응답은 37%에 불과한 반면 ‘있다’는 응답은 63%에 달했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48%가 ‘마진감소’, 15%가 ‘시장점유율 하락’의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일본기업의 수익성 개선, 환율변동의 수출영향 시차를 고려할 경우 엔저가 우리기업의 수출 및 수익성에 곧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 설문 업체 중 73% 업체가 엔화가 110엔대에 도달할 경우 수출이 평균 10%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엔ㆍ달러 환율이 10% 상승할 경우 국내 제조업체 영업이익은 2012년 기준 4조8,000억원 감소하고 영업이익률은 0.21%포인트(5.04%→4.83%) 하락하게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규모별로는 수출비중이 높은 대기업의 영업이익액 감소폭이 중소기업보다 큰 것(대기업 : -6.3%, 중소기업 : -3.9%)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석유화학,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류의 매출 감소폭이 큰 것으로 추산됐으며 영업이익은 수출물량보다는 수출단가 하락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되는 철강금속, 기계류의 감소폭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국내기업의 수출감소, 수익성악화가 우려되는 만큼 정부와 기업의 선제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정부는 엔저로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기업에 대한 무역금융 및 해외마케팅 등의 단기적 지원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