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16일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국회경제정책포럼에서 “앞으로의 환율은 복잡한 방정식이 될 것 같다. 어느 한 나라의 정책을 갖고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치에도 영향을 받고 일본에도 영향을 받는 등 복합적으로 서로 얽혀 있기 때문”이라며 “그때 그때 상황에 맞게 환율 정책을 쓸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최근 미국의 달러 강세로 원·달러 환율은 오름세를 타는 반면 일본의 추가 양적완화 가능성에 원·엔 환율은 하락세를 타는 등 원·달러, 원·엔 환율이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은 원화가 달러나, 엔화에 비해 약세를 보이거나, 강세를 보이는 행태를 보여왔지만 이제는 달러에 대해서는 약세, 엔화에 대해서는 강세를 보이는 등 환율 움직임이 한층 복잡해진 것을 이 총재가 지적한 셈이다.
이 총재는 오는 10월 미 연준이 양적완화를 종료한 후의 상황에 대비해 여러 시나리오를 세워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연준이 올해에 총 3번의 회의를 열고 그 때마다 (통화정책)정상화 방향 을 밝힐 것이다”라며 “시장이 먼저 움직일 것으로 보이므로 여러 상황을 감안해서 대비책을 생각해놨다가 그때그때 실기하지 않고 정책을 펴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여러 시나리오를 상정해두고 대비할 수밖에 없다. 그때그때 상황을 보고 (정책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이 총재는 금융안정을 위한 당국간 협조채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금융안정협의회로 기재부, 한은, 금융위, 금감원 등의 부기관장급이 참여하는 실무협의가 있는데 보다 강화된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는 법 개정 사안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또 현재 경기불균형 심화, 전세계적 저성장·저물가 등으로 통화정책의 효과 제약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규제완화 등 경제전반에 걸친 구조개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의 외환보유액이 너무 많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외환보유액이란 만약을 대비해 필요한 것”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