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大-中企 MRO 사업조정 협상 결렬

대기업측서 절충안 거부…동반성장위, 강제조정 나설듯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MRO(소모성자재구매대행) 사업조정안 협상이 최종 결렬됐다. 이에 따라 동반성장위원회가 중소기업적합업종 품목 선정과 마찬가지로 대기업측에 강제조정 권한을 행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30일 중소기업중앙회 및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지난 27일 오후 여의도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열린 동반위 산하 MRO실무위원회 4차 회의에서 중소업계가 제안한 MRO사업조정 절충안을 서브원 등 대기업측이 거부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자리엔 중소업계를 대표해 한국산업용재협회, 한국베어링판매협회, 한국골판지포장공업협동조합이, 대기업측은 서브원(LG), 엔투비(포스코), 코리아e플랫폼(KeP, 코오롱)이 참석했다. 최근 인터파크와 매각협상을 진행중인 아이마켓코리아(삼성)측은 불참했다. 중소업계는 지난 3차회의에서 대기업MRO사들에게 ▦MRO 계열사 및 56개 기업집단(공정거래법상 상호출자제한) 계열사와의 거래는 계속하되 기존에 구매대행을 하지 않고 있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과의 신규 거래는 제한한다. ▦중소기업과 공공부문도 제외한다는 내용의 사업조정안을 최종 통보했다. 하지만 대기업측의 반발이 심하자 실무위원회 위원장인 이장우 경북대 교수의 중재로 중기측은 이번 협상에서 한발 물러난 절충안을 내놓았다. 내용은'제약했던 대기업의 거래는 모두 인정하되 연매출 3,000억원 이하의 중견기업과의 거래는 불가하다'는 조정안이었다. 하지만 이에대해 서브원은"원칙적으로 중견기업 거래 불가는 수용하되 고객사에서 (거래를) 원하면 조건부로 허용해달라"고 주장했고, 중기측은 "고객이 진짜로 원하는지를 어떻게 구별할 수 있느냐"며 수용불가 입장을 밝혀 결국 협상은 결렬됐다. 대기업MRO사와 중소 납품업체와의 직거래 문제도 양측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섰다. 중기측은 서브원 등 대기업MRO측이 소모성 자재를 취급하는 중소 대행업체를 배제하고 직접 생산하는 중소 납품업체와의 직거래 비중을 30% 넘지 않게 해달라고 요구했지만 대기업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중소업계 관계자는 "통상 대기업MRO사의 매출구조는 계열사 일감 70%, 대기업 거래 20%, 중견기업 10% 등으로 알고 있다"며 "대기업MRO들은 매년 급성장하는 반면 소상공인들은 문을 닫고 있는 마당에 모든 걸 다 움켜쥐겠다는 대기업 마인드가 안타깝다"고 말했다. 결국 이날 회의는 당초 1시간 가량 예정됐으나 격론 끝에 2시간반이 넘도록 결론을 못내고 최종 결정을 동반위로 넘겼다. 양측의 견해가 좁혀지지 않는 이상 더 이상의 추가협상은 없다는 게 중기측 설명이다. 이와 관련, 동반위는 오는 11월4일 예정된 동반성장위원회 9차 본회의에서 중소기업적합업종 2차 품목 선정과 함께 MRO사업가이드라인 방안을 직권으로 상정해 강제 조정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장우 위원장이 마지막까지 대기업측을 설득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어서 막판에 극적으로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