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아시아 공동통화 논의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사설] 아시아 공동통화 논의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한국과 중국ㆍ일본 3국이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에서 아시아 공동통화 구축을 위한 공동연구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이들 3개국은 또 아세안 국가들과 함께 역내 금융위기 발생시 외환의 상호지원 규모를 늘리기로 합의했다. 초보적 단계이지만 한ㆍ중ㆍ일간, 더 나아가 아시아 역내 금융협력 강화의 의지를 보인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선진국의 통상압력, 투기성 자금 등 국제자금의 빈번한 이동과 금융시장 교란 가능성, 북미와 유럽의 권역별 경제통합 진전 등 세계경제 환경 변화에 따라 역내국가간 공조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개별적 대응보다는 공동대응이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아시아 공동통화는 그 동안 학계를 중심으로 여러 차례 논의됐지만 진전이 없던 문제였다. 그러다 비로소 정부 차원의 합의가 이뤄진 것인데 여기에는 선진국들의 아시아 통화절상 압력에 대한 공조 필요성이 크게 작용했다. 막대한 무역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은 중국에 위안화 절상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고 있다. 위안화 절상은 원화 절상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한국에도 남의 일이 아니다. 그렇지 않아도 최근 환율하락이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ㆍ중ㆍ일이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공동대응을 하게 되면 환율 문제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통화스와프를 통한 외환지원을 내용으로 한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 체제가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것도 주목된다. 당장 실질적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이번 ADB회의에서 회원국들은 외환지원 규모를 395억달러에서 최대 790억달러로 늘리고 지원방식도 계약 당사국들의 양자협의에서 집단적 의사결정방식으로 바꾸기로 했다. 충분한 액수를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고 대응능력이 훨씬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아시아 공동통화 출범은 유로화가 탄생되기까지 30년이 걸렸던 데서 보듯 앞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일단 논의가 시작된 만큼 각국이 긴밀한 협의로 이를 더욱 발전시켜나가기를 기대한다. 입력시간 : 2006/05/05 15:5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