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위기의 월가] 한국 금융권도 탐욕서 자유롭지 않다

환란 이후 국민 혈세로 살아났지만<br>고액 연봉 돈잔치에 이자장사 몰두

국내 금융회사들의 탐욕스러운 영업행태는 월가와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국민의 세금을 지원받아 살아났지만 여전히 고액연봉을 받아가며 이자장사에만 몰두하고 있기 때문이다. 외환위기 당시 정부가 금융기관에 투입한 자금은 168조6,000억원. 이 중 102조2,000억원을 되돌려 받아 8월 말 현재 회수율은 60.6%다. 정부는 리먼 사태 당시에도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2009년 5월에 구조조정기금을 조성해 5조9,805억원을 지원했다. 현재까지 회수금액은 19.8%인 1조1,832억원 수준이다. 저축은행들도 공적자금을 받아가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지난해까지 저축은행에 들어간 자금은 17조원을 넘는다. 정부의 지원과 금융산업 구조조정 덕택에 지금의 호황기를 누릴 수 있게 됐음에도 은행 등 주요 금융사들은 예전의 일은 모두 잊고 있다. 은행들의 돈 잔치는 예삿일이다. 외환∙기업∙우리∙국민∙하나 등 5개 은행 등기이사의 평균 월급은 5,757만원이다. 신입 행원 임금이 20% 삭감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은행원들의 평균 급여는 국내 최고 수준이다. 그러면서 대출이자는 올리고 예금금리는 낮추는 방식으로 막대한 순익을 내고 있다. 은행의 잔액기준 예대마진(대출금리-예금금리)은 2008년 2.61%포인트에서 2009년에는 2.80%포인트로 뛰더니 지난해에는 2.85%포인트를 기록했다. 올 들어서는 2.9%포인트를 넘어섰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은행들은 기준금리가 내려갈 때 대출금리를 그대로 두면서도 예금금리를 많이 내린다"며 "기준금리가 올라갈 때는 대출금리를 많이 올리지만 예금금리는 조금 상향 조정하는 데 그친다"고 말했다. 은행권은 또 위험성이 없는 대기업 여신은 늘리면서 중소기업 대출은 옥죄고 있다. 국민∙우리∙신한∙하나 등 4개 시중은행의 대기업 대출잔액은 9월29일 현재 60조2,154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2조2,519억 늘어났다. 하지만 중소기업 대출잔액은 208조1,169억원으로 8월 말보다 오히려 3,252억원 줄었다. 부실이 생길 수 있는 중기대출은 외면하면서 땅 짚고 헤엄치기식 영업에만 몰두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은행들의 이익 규모는 사상 최대치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국내 은행들은 올해 20조원에 달하는 순이익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 은행들은 정부의 가계대출 축소정책에 편승해 오히려 대출금리를 올리면서 수익을 더 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저축은행 사태로 예금이 은행권으로 몰리자 예금금리는 더 내리고 있다. 은행권의 이 같은 행태를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 않다. 이한득 LG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금융권이 중소기업 등 사회적 약자를 외면하고 고임금을 고착화한다면 사회적 갈등을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