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安에 검증 칼 꺼내든 새누리·민주

박 안보관 단일화 집중공략, 문 청와대 이전 등 정책 현실성없다.

새누리당이 양자대결 지지율 조사에서 박근혜 대선 후보보다 앞서고 있는 안철수 무소속 후보를 겨냥해 전면적인 검증공세에 돌입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측도 단일화를 염두에 두면서도 정책검증차원에서 전날 안 후보가 제시한 청와대 이전과 대통령 인사권의 10분의 1 축소 등 구상에 날 선 비판을 가했다.

새누리당은 8일 안 후보의 안보관과 야권 단일화 문제를 집중적으로 문제 삼았고, 국정감사를 통해서는 안철수연구소(현 안랩)의 주요주주 시세차익 지원과 기술료 미납 등을 문제 제기했다.


심재철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안 후보가 전일 발표한 정책비전은 알맹이가 없는 것으로 준비 안 된 후보라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안 후보는 천안함, 연평도 사건에 대해 대화가 우선이라고 했는데 대통령 후보의 안보관으로서는 위험한 것이다”고 꼬집었다. 당 선대위 공보단장인 이정현 최고위원은 야권 단일화와 관련,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안 후보의 단일화는 구태정치이고 야합”이라면서 “한국 정치에서 나와선 안 되는 정치용어”라고 비판했다. 그는 “2위와 3위를 하는 사람이 야합해서 선거에서 이기겠다는 것은 민심을 왜곡하고 정치를 완전히 희화화하는 것이다. 안 후보가 야합을 통해 새 정치를 하겠다는 것은 스스로 논리의 모순에 빠지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관련기사



새누리당 의원들은 국감에서 안철수연구소에 대한 공격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홍일표 의원은 지식경제위원회 국감에서 “안철수연구소는 자회사를 통해 정부로부터 연구개발 예산을 지원받아 기술만 얻은 뒤, 해당 자회사를 폐업하는 방식으로 기술료를 납부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1998년부터 2011년까지 단독 또는 공동으로 수행한 정부 발주 기술개발사업 16건(721억원 가량) 가운데 기술개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 5건의 기술료를 자회사를 폐업하는 방식으로 납부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진복 의원은 안 후보가 친목모임인 브이소사이어티 지인들에게 정상시세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주식을 매수하도록 해 400억원 이상의 시세차익을 안겨다 주었다고 주장했다.

민주통합당은 문재인 후보 선대위의 이정우 경제민주화 위원장도 안후보의 정책에 비판을

가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안 후보가 7일 발표한 청와대 이전 공약에 대해 “너무 뜻밖”이라며 강하게 반대했다. 이 위원장은 또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를 현행 1만여개에서 10분 1로 줄이겠다는 인사권 축소 구상에 대해서도 "좀 의외이고 동의하기 어렵다" 며 "이렇게 되면 관료 중심으로 갈 수 있어 개혁이 후퇴할 우려가 크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안 후보의 대통령 사면권 제한에 대해서 그는 "사면권이 남용돼온 경향이 있어 자제돼야 하는 것은 맞고, (사면의) 원칙이 있어야 한다" 면서도 "사면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국회 동의까지 받도록 하는 것은 지나친 압박”이라고 우려했다.

이 위원장은 안 후보가 처음 내놓은 정책 전반에 대해 "제2의 출마선언 같은 느낌으로 내용이 상당히 거시적, 추상적, 원론적”이라고 지적하고“아직 큰 정책은 보이지 않아 정책들이 나와야 비교도 하고 토론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말해 높은 점수를 주지 않았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