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내년 자가폴주유소 300곳 정품보증 지원

자가폴 품질보증제 본격 시행..지원금 대폭 늘려

올해 시범적으로 도입됐던 자가폴(무폴) 주유소 품질보증제도가 내년 본격적으로 확대 시행된다. 지식경제부는 자가폴 주유소 육성을 위해 내년 이 사업을 본격화해 품질보증 지원 대상을 300여 곳으로 늘리고 지원금액도 품질보증비용(600만원)의 80%에서 90%로 높이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이에 따라 주유소가 한 해 부담하는 비용이 120만원에서 60만원으로 줄어들게 됐다. 이 제도는 특정 브랜드를 내걸지 않은 자가폴 주유소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석유관리원의 검사를 통과한 자가폴 주유소에 정품 보증 마크를 달아주는 것이다. 자가폴 주유소는 여러 공급사의 석유제품 중 최저가 제품을 선택적으로 구매해 계약된 정유회사 간판을 내건 일반 주유소보다 싼 가격에 판매할 수 있지만, 가짜 석유를 판다는 인식이 팽배해왔다. 석유관리원은 신청 주유소를 대상으로 한 달에 한 번씩 석유제품 품질을 검사하게 된다. 지경부 관계자는 “올 들어 지금까지 이 보증을 받은 업체는 8곳에 불과하다”며 “내년에는 지원 대상과 금액을 늘리고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단도 마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현재 품질인증을 받은 주유소는 석유관리원이 배부하는 정품 스티커를 부착하고 있지만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라 자가폴 주유소 시설 개선 사업과 병행해 좀 더 효과 높은 홍보 수단을 마련할 예정이다. 현재 자가폴 주유소 수는 전국 주유소(1만3,045개)의 6.5%인 840여곳, 판매물량 비율은 5.7% 수준이며, 일반 주유소보다 ℓ당 41원 가량(5월 기준) 저렴하다. 한편 가짜 석유 철퇴를 위해 한국석유관리원에 준(準)수사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지식경제부는 최근 국회에서 잇단 주유소 폭발사고와 관련해 석유관리원이 비밀탱크를 포함한 주유소 불법시설물을 수색, 확인, 조사할 수 있는 권한을 갖도록 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