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시대의 밭 유적이 강원도 고성에서 발굴됐다. 신석기시대 중기(기원전 3,600년~기원전 3,000년)인 5,000년전에 만들어진 밭으로 한반도 농경의 역사가 고조선보다 훨씬 이른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됐음을 보여주는 명확한 증거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가 크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영원)는 26일 오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고성 문암리 유적'(사적 제426호) 발굴 현장에서 신석기시대 경작(耕作) 유구인 '밭'을 발굴하고 현장설명회를 개최했다.
연구소 측은 "이번에 '고성 문암리 유적'에서 발굴된 신석기시대 밭 유적은 중국, 일본에서도 발견된 예가 없는 동아시아 최초의 신석기시대 밭 유적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밭 유적 중 가장 빠른 시기의 것은 청동기시대(기원전 1,500년~기원전 400년)였다. 또한 돌괭이, 뒤지개, 보습, 갈판 같은 석기와 조ㆍ기장 등의 탄화곡물을 근거로 한반도 농경의 가능성을 추정해 왔을 뿐 이번처럼 구체적인 농경의 증거인 '밭'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이 유적은 2010년부터 고성 문암리 선사유적 종합정비사업의 하나로 발굴조사가 진행 중이었다. 이번에 발굴된 밭은 크게 상ㆍ하 2개 층으로 구분된다. 상층 밭은 전형적인 이랑(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 밭의 형태를 띠지만 청동기시대 밭의 형태와 비교할 때 너비가 일정하지 않은 고식적(古式的) 형태다. 그러나 하층 밭은 상층 밭과 다른 복합구획 밭의 형태로 더욱 원시적이다.
특히 하층 밭이 형성된 이후에 지어진 것이 확인된 '5호 집자리' 바닥에서 신석기시대 중기(기원전 3,600년~기원전 3,000년)의 짧은빗금무늬토기 조각ㆍ돌화살촉 등이 발견돼, 하층밭은 적어도 신석기시대 중기 이전의 것으로 볼 수 있는 증거를 제공했다. 이 하층 밭의 흙을 시료로 OSL(광자극 루미네선스측정) 연대를 측정한 결과 역시 5,000여 년 전의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농경과 관련된 추가 정보 수집을 위해 유적퇴적환경분석, 규산체분석, 토양미세형태학적분석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당시 재배 식물의 종류 확인 및 정확한 연대 확인을 위한 과학적 분석을 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