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연대 호킹' 신형진씨 연구소 첫 출근

모교서 SW응용분야 연구


전신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입학 9년 만에 대학을 졸업한 '연세대 호킹' 신형진(28ㆍ사진)씨가 이번주 모교 연구소로 첫 출근해 연구원 생활을 시작한다. 6일 연세대에 따르면 올해 초 컴퓨터과학과를 졸업하고 이 대학 소프트웨어응용연구소에서 근무하기로 한 신씨는 오는 10일 오후2시께 첫 출근을 해 학교 측이 마련한 환영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김한중 총장과 보직교수, 연구소 직원들, 가족과 선후배 등이 참석하는 환영회에서 신씨는 안구 마우스로 컴퓨터를 이용해 글을 쓰면서 미리 준비한 감사 인사와 소감을 전할 계획이다. 앞으로 연구할 분야에 대해서도 행사 참석자들에게 소개한다. 지난 1994년 연세대 부설로 설립된 소프트웨어연구소는 소프트웨어응용과 정보통신 분야의 기반 기술을 연구하는 곳으로 공대와 다른 학과가 협동연구를 하고 정부나 기업이 의뢰한 과제를 맡아 연구를 수행한다. 그는 앞으로의 연구주제를 스마트폰으로 정했다. 마침 신씨의 학부 지도교수였던 이경호 컴퓨터과학과 교수가 이 분야 전공자여서 이 교수가 계속 지도교수를 맡기로 했다. 13일부터 정식 근무하는 신씨는 학교 측의 배려로 다른 연구원처럼 매일 출근해 업무를 하지 않고 한 주에 한두 차례만 연구소에 나와 회의 등에 참석한다. 맡은 연구과제는 주로 재택근무로 수행할 예정이다. 연대는 신씨가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점을 고려해 연구소가 있는 공학원 건물 1층에 동료 연구원 2~3명과 함께 사용할 연구 공간을 특별히 마련해줬다. 학교 측은 그가 휠체어에 누워서 컴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연구실용 휠체어와 책상에 이른바 '로봇 팔(monitor arm)'을 국립재활원의 도움을 받아 맞춤형으로 설치했다. 공과대학에서는 기본 연구비 3,000만원을 지원했다. 신씨의 어머니 이원옥(65)씨는 "형진이가 졸업한 뒤 딱 다섯 달을 쉬었는데 '백수가 싫다'며 빨리 일하고 싶어한다"면서 "학부 때는 이 건물 저 건물로 이동해야 했는데 이제 학교에서 마련해준 연구실에서 지내면 훨씬 편할 것 같다"며 고마워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