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유권자 "총선서 소속정당 우선고려"

지역감정유발, `空約' 문제점 지적

17대 총선 투표참여 유권자들은 지지후보 결정시후보자의 인물.능력보다 `소속 정당'을 우선 고려했으며, 지지정당을 결정할 때는정당의 `정견.정책'을 가장 비중있게 감안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유권자들은 이번 총선에서 드러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역감정 유발'과 `비현실적 공약 남발'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관위가 17대 총선 직후 전국 유권자 1천500명을 대상으로 `유권자 의식조사'를 실시, 18일 내놓은 결과에 따르면 총선 투표자중 지지후보 결정기준에 대해 `소속 정당'이란 응답이 39.0%로 가장 많았고, `인물.능력' 33.7%, `정책.공약' 18.3%, `정치경력' 2.9%, `출신지' 1.4%, `개인적 연고' 1.0% 등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선거전에 실시한 조사에선 후보선택 기준으로 `소속 정당'을 택한 유권자가 1차 24.2%, 2차 21.0%였으나 실제 투표에선 이보다 14.8~18% 포인트 높았다. 지지후보 결정시기에 있어선 `선거운동 개시전'이 52.3%로 `선거운동 개시후' 47.7%보다 많았고, 15, 16대 총선과 비교할 때 `선거운동 개시전'에 후보를 결정한경우가 각각 5.4% 포인트, 5.7%포인트 높아져 후보결정시점이 빨라졌음을 보여줬다. 이번 총선에서 처음 도입된 정당투표와 관련, 지지정당 결정기준으론 `정견과정책'이 44.4%로 가장 높았고, `지지후보자와 같은 정당' 21.5%, `비례후보자의 인물.능력' 19.9%, `정당의 지지기반' 10.5% 등으로 나타나 `1인2표제' 도입을 계기로정책선거가 자리잡아가고 있음을 뒷받침했다. 17대 총선에서 드러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응답자의 43.1%가 `지역감정유발'을 꼽았고, 24.1%는 `비현실적인 공약남발'을, 17.5%는 `상호비방 및 흑색선전'등을각각 들었다. `지역감정유발'을 문제점으로 지적한 유권자는 16대 총선후 조사(35.3%)때보다는 물론 역대 어느 때보다 높아 유권자들은 `지역감정'이 계속 심화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현실적인 공약남발'을 문제점으로 꼽은 유권자는 지난 15(8.7%), 16대 총선(8.3%)에 비해 15.4~15.8%포인트 높아졌다. 이어 유권자들이 경험한 불법선거운동사례로는 `인터넷.휴대폰.전화 등을 통한사이버 불법선거운동'이 17.9%로 가장 많았고, `인신공격.비방.흑색선전' 13.3%, `학연.지연유발 또는 유인물 배포' 6.7%, `모임의 선거운동' 5.4% 등이어서 불법 사이버선거운동 근절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유권자 4명 중 3명(75.0%)은 불법선거운동을 경험했을 때 `모른 체 했다'고 답한 반면, `항의 및 제지했다'는 응답은 11.5%, `선관위 신고'는 3.2%에 그쳤다. 그러나 응답자 중 85.1%는 이번 선거가 `깨끗하게 치러졌다'고 답해 16대 (44.9%)보다 40.2%포인트가 높았다. 공명선거 저해요인으로는 `후보자의 비방.흑색선전 등 불법선거운동'이 26.8%로가장 많았고 `언론의 불공정 보도' 25.3%, 공직자 선거개입 7.6%, 유권자 금품.향응요구 5.6% 등 순이었다. 이어 응답자의 77.6%는 `후보자들이 선거법을 준수했다'고 답해 16대 총선(24.8%)보다 52.5%포인트나 많았고, `50배 과태료나 선거범죄신고포상금제도가 돈선거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는 응답이 86.6%(매우효과 41.4%, 다소 효과 45.2%)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오차허용범위가 ±2.5%라고 선관위는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병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