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독상의 "한국 홍보 마인드 아쉽다"

한독상공회의소는 한국이 최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외 홍보 부족으로 독일 및 유럽기업들의 유치에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디터 브링크만 한독상의 회장은 25일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창립 25주년 기념 기자 간담회에서 "한국은 최첨단 기술 보유국이고 한국 정부 또한 독일 기업들에게 면세 정책 등 상당히 매력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해주고 있다"고 밝혔다. 브링크만 회장은 "하지만 유럽에서 삼성, LG 등은 알지만 한국 정부 차원의 홍보가 약해 독일인들에게 한국이 투자지로 인식되는 경우가 적다"고 말했다. 그는 "독일기업들이 왜 일본이라는 나라를 잘 아는가"라고 물은 뒤 "일본은 품질이 한국보다 좋아서가 아니라 그동안 일본 정부가 전방위적으로 홍보를 잘 했기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브링크만 회장은 "특히 독일 중소기업은 한국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투자보다는좀 더 기다려보자는 생각이 대세를 이룬다"면서 "해결방법은 학생 및 지식인 교류를통해 친해지고 한국정부가 유럽지역에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 매력적인 투자처임을알려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볼프강 니더마르크 한독상의 사무총장도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 마인드가 아쉽다"면서 "독일 및 유럽기업들은 한국에 투자할 때 경쟁국과 같은 조건을 바라고있으며 한미 FTA협상에서 독일과 유럽의 입장도 고려해달라"고 요청했다. 지그프리드 샤이베 한독상의 경제담당 이사는 "재생에너지 분야는 독일과 한국이 협력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분야"라면서 "한국 최대 풍력단지 프로젝트에 현재 독일 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날 창립 25주년을 맞은 한독상의는 독일 정부의 지원을 받는 공공단체로 한국에 350개 회원사와 17명의 협회 직원을 거느리고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