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애통한 일…정부는 뭐했나"

김선일씨 애도물결 속 정부 외교력 질타<br>파병철회 요구 거세져, 파병강행론도

이라크 무장단체에 납치됐던 김선일(33)씨가 결국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됐다는 비보를 접한 시민들은 무고하게 숨진 김씨를 애도하면서 정부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대다수 시민과 네티즌, 시민.사회단체들은 김씨의 무고한 죽음을 계기로 이라크추가 파병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 가운데 일각에서는 목적이 전투가 아니라 평화적 재건지원임을 알리기 위해서라도 파병을 강행해야 한다는 주장도나왔다. ◆ 시민.네티즌 `애통한 일..정부 뭐했나' = ID가 `gomting002'란 네티즌은 "아름다운 꿈을 가진 김씨의 노력이 헛것이 돼 버렸다"며 안타까워 했고 `kl0921'라는네티즌도 "지금은 누구의 잘못을 가려 탓하기보다는 억울하게 희생당한 김씨를 위해명복을 빌 때"라며 고인의 넋을 기렸다. 네티즌 `지구세바퀴'도 "김씨가 느꼈을 마지막 순간의 공포와 두려움을 생각하면 가슴이 너무 아프다"며 명복을 빌었다. 송모(29.여.회사원)씨는 "국민 하나도 못 지키는 국가라니, 너무 무능하고 황당하다. 재논의할 수도 있는 문제(추가 파병)를 무조건 강행한다는 게 어리석어 보이며 답답하다"고 정부를 질타했다. 회사원 김혜진(33.여)씨도 "전쟁 당사자인 미국도 아닌 한국인이 희생당한 것은현 정부의 낙후되고 초보적인 외교력과 국제정보의 부재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미국에 사는 재미교포 심광은(37)씨는 "파병이 어떤 국익을 가져오는 지 모르겠지만 무고한 국민의 희생을 담보로 얻는 국익이라면 포기하는 편이 낫다"며 "이런참담한 결과에 이르기까지 한국 정부는 무슨 일을 했는가"라고 꼬집었다. 네티즌 `76cholws'은 "일본의 경우 정부가 신속하게 영향력 있는 인물들과 접촉해 인질을 구출했는데 우리 정부는 어땠는가"라며 "정부는 김씨의 납치 사실을 제대로 파악도 못하고 늑장대응했다"고 질타했다. `happy4303'이라는 네티즌도 "정부에서는 `파병 강행' 방침을 협상 시한으로 정해진 시간에 발표했어야 하는가. `할 테면 해봐라'식의 대응은 먹혀들지 않았다"라며 정부의 전략 부재를 비난했다. ◆ 파병 철회론 = 시민사회단체들은 일제히 김씨 피살을 계기로 정부의 파병방침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태호 참여연대 정책실장은 "충격적인 일로 무장단체들이 민간인을 살해한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면서 "그러나 무장단체들의 위협에 지지 않고 군대를 보내겠다는건 해법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참사는 앞으로 일어날 여러 비극 중 시작에 불과할 뿐"이라며 "과연이처럼 이라크 내에 한국군에 대한 반감이 실재하는데도 재건 지원이 가능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제발 `테러 위협에 질 수 없으므로 더 많은 병력을 보내야 한다는주장이 나오지 않길 바란다"며 `보복 파병론'이 불거지는 것을 경계했다. 박석운 이라크파병반대비상국민행동 집행위원장도 "추가 파병으로 예견됐던 일이고 `필연적인 우연'으로 발생한 참사"라며 "제2, 제3의 김선일씨를 막기 위해선지금이라도 파병을 중단하고 국민적 합의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노총도 성명을 통해 "김씨의 희생은 정부가 파병을 강행하면서 예견된 일이었다"며 "국민의 생명보다 더 중요한 국익은 없으며 이 같은 일을 초래한 현 정부의이라크 파병에 강력히 항의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더 이상 무고한 희생을 막기 위해 상반기 투장의 주요한 요구로 이라크 파병 철회를 요구한다"며 "전 조합원의 힘으로 파병 철회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 파병 강행론·`반이슬람'기류도 = 재향군인회는 "피랍 사건 후 찬반 논란이재연되는 것 자체가 무장단체들에게 도움을 주는 격"이라며 "이미 정부방침으로 결정돼 추진되고 있는 만큼 흔들림없이 파병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향군인회는 "(파병을 통해) 파병 목적이 전쟁이 아니라 재건 지원이란 사실을실제로 확인시켜줘야 한다"면서 "이 경우 교민 등에 대한 안전대책도 강구해야 할것"이라고 말했다. 한 네티즌도 "최악의 상황에 더 이상 무엇을 망설이는가"라며 "전쟁과는 전혀관계 없는 민간인까지 학살하는 이라크 무장세력을 당장 `응징'해야 한다"고 울분을터뜨렸다. 주부 김모(40)씨는 "김씨를 무참하게 살해한 무장세력에 대한 보복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반드시 전투병 파병이 아니라도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강력하고단호하게 정부가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서울 한남동 이슬람사원엔 김씨 피살에 항의하는 전화가 빗발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강훈상.정성호.임주영.김병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