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중 日교과서 왜곡 공동대응하나

양국 외교장관 회담서 공조방안 논의할듯

일본의 교과서 왜곡 등으로 인해 한국과 중국의 반일 감정이 들끓고 있는 가운데 양국 외교부 장관이 회담을 개최, 한ㆍ중 양국의 일본에 대한 공조체제 가동 여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ㆍ중 양국은 6일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에서 북핵 6자 회담 수석대표 회동에 이어 외교장관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양국 장관은 회담에서 일본의 교과서 왜곡 등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뿐 아니라 중국 내에서도 일본 상점을 습격하고 대대적인 일본 상품 불매 운동 등을 벌이는 반일 여론이 들끓고 있어 국제공조의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일본 문제에 대해 한ㆍ중 양국이 공동 인식을 같이 한다는 정도의 합의가 이뤄질 수도 있다”며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그럴 경우, 이번 회담을 바탕으로 앞으로 일본의 유엔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공동 저지 등 실질적인 협력으로 연결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우리 정부는 독도 문제가 본격적으로 불거지면서 국제 사회와의 연대를 공개적으로 선언한 바 있다. 특히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최근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대일본 한ㆍ중 공조체제가 부분적으로나마 성립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실용주의 외교를 추구하는 등 한국과 외교스타일이 다른 중국이 ‘득실’이 불투명한 한국과의 공조에 기꺼이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없지는 않다. 한편 교착상태에 빠진 6자 회담을 둘러싸고 북한과 중국이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이 최근 중국을 방문한 이후 처음으로 가진 이날 한국의 6자 회담 수석대표인 송민순 차관보와의 회동에서 북측의 속내가 어느 정도 파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논의가 집중되고 있는 현 상황이 6자 회담의 향배를 가를 고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과 중국의 공조 여부도 지켜볼 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