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무늬만 민영화' 정부입김 여전

'무늬만 민영화' 정부입김 여전 ■포철 민영화 그후-<상>시장에 맡겨라 포철은 긴장속에 11월 1일에 대비하고 있다. 국정감사를 받는다. 포철이 민영화됐다며 반대했지만 국감대상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여기서 포철과 재계는 ‘무늬만 민영화’라며 ‘간섭’을 비판한다. 이것을 ‘민간기업 포철’의 험난한 앞날로 보는 이들이 많다. 민영화 이후 포철의 현재와 갈길을 점검해본다. "포철의 완전 민영화요? 아직 갈 길이 멀지요.” 포철을 누구보다 잘아는 유한수 디지털금융연구원장(前 포스코경영연구소장)이 잘라 한 말이다. 이것은 최근 정부가 “지난 98년 12월부터 올 10월까지 산업은행의 지분 26.7% 가운데 15.5%를 DR(주식예탁증서)로 발행하고, 나머지 11.2%를 포철이 자사주로 매입해 포철의 민영화를 마무리했다”는 '공식발표’와 너무 다른 견해다. 유 원장은 심지어 “정부의 간섭아래 있기보다 차라리 특정기업이 인수해 국제경쟁력을 키우는게 나을 것”이라고 말한다. 정부의 간섭에 대한 우려다. 이는 단순한 걱정에서 끝나지 않는게 현실이다. 포철의 한 관계자는 “기업은행의 포철지분(4.89%)에다 한국투신·대한투신·한빛은행 등의 지분을 합치면 정부의 영향력 아래 있는 지분이 11%에 이른다”며 이를 내세운 ‘간섭과 압력’이 끊이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국회는 기업은행이 보유한 포철의 지분을 들어 “포철은 정부 출자기관의 출자회사”라며 국감대상에 포함시켰다. 경제단체의 한 임원은 “기업은행이 지분을 보유하는 한 포철은 매년 국감의 홍역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며 “전체 지분의 40%를 보유하고 있는 외국인 주주들이 이를 어떻게 이해할 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계속 흘러나오는 ‘유상부 회장 교체설’도 이런 우려와 맥을 같이한다. 엄밀하게 말하면 유회장의 현재 위치는 ‘민간기업 전문경영인’이다. 새 경영진이 필요하다면 이는 주주들의 몫이지 지금처럼 정치권에서 거론될 사안이 아니라는 것. 민영화된 포철의 의미는 생각보다 크다는게 재계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김경중 삼성증권 연구위원은 “포철 민영화는 공기업 민영화의 시금석이 될 것이다. 정치 논리에 휘말려 전문경영인 체제가 흔들리거나, 알짜배기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의도는 사라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철은 시장과 포철에 맡겨라.”책임경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재계 관계자들이 하는 말이다. 한운식기자 입력시간 2000/10/25 18:35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