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金총재 "가계부채, 정부서 해결수단 찾아야"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가계부채 문제는 정부에서 미시적인 수단을 찾아야 한다"며 기준금리 인상을 통한 문제해결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금융감독당국이 900조원에 달한 가계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한은이 총유동성 관리에 나서줄 것을 요청하고 나선 데 대해 금리인상을 통한 가계부채 해결은 힘들다는 입장을 공식 전달한 것이다. 김 총재는 8일 기준금리를 동결한 후 기자들과 만나 "가계부채 규모가 특정 계층에는 과다한 것으로 보인다. 경제기관들이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면서 "중앙은행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은 금리조절이 있지만 금리는 무차별적으로 적용된다. 특정 계층을 겨냥한 정책이 있으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 물가 수준과 관련해 "지난 8월 물가 상승률이 5.3%에 달했지만 기준금리 결정시 관심을 두는 것은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관리하는 것"이라며 "8월 물가 상승률을 중요시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과거를 보고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는 추석 이후 농수산물 가격이 안정세로 돌아서고 향후 물가 기저효과도 나타날 수 있어 물가 상승세가 다소 진정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내비친 것이다. 김 총재는 불확실한 글로벌 경제에 대해 "해외변수가 관리 가능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면 기준금리 정상화 방향으로 갈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무모하게 갈 수는 없다"며 "우리처럼 대외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매우 조심스럽게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부양을 위한 금리인하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김 총재는 "이번 금통위 회의에서 금리인하 얘기는 없었다"면서 "현재 경제여건을 감안하면 얘기할 환경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