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위기의 IT서비스업계 '이유있는 외도'

무인헬기… 중고차 매매… LED조명… <br>대기업 공공부문 수주 규제… 신사업·해외 진출로 돌파구<br>여력없는 중소업체 고사 위기


대기업은 좁아진 국내 시장이, 소기업은 인색한 중견 기업들이 원망스럽다. 요즘 국내 정보기술(IT)서비스 업계의 처지다. 돌파구를 찾기 위해 신 사업과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다.

LG CNS는 16일 무인헬기 제조사인 원신스카이텍을 인수했다고 밝혔다. IT서비스를 본업으로 삼아 온 기업이 하드웨어 업체를 사들인 것이다. 무인헬기는 송전선ㆍ송유관ㆍ댐 같은 대규모 시설 감시나 해안ㆍ산림ㆍ국경 감시, 범죄차량 추적, 방사능 탐지, 교량 가설 지원, 물자수송, 재난 피해상황 파악과 구조 활동 지원, 농약 살포ㆍ파종 지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된다.


이는 신 사업과 해외 사업 양쪽을 다 잡겠다는 포석이다. 원신스카이텍은 미국ㆍ프랑스ㆍ러시아ㆍ중국ㆍ터키 등에 무인헬기를 수출하고 있는 기업으로, 지난해 방위사업청이 추진하는 국산 무인헬기 개발사업을 LG CNS와 공동으로 수주하는 등 협력관계를 맺어왔다. 원신스카이텍이 무인헬기를, LG CNS는 무인헬기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와 솔루션 등을 개발해 공동으로 해외 진출의 범위를 넓힌다는 게 LG CNS의 전략이다.

언뜻 본업과 거리가 멀어 보이는 사업을 진행하는 IT서비스기업은 LG CNS뿐만이 아니다. SK C&C는 중고차 매매 서비스인 '엔카'를 흡수합병하고 해외 중고차 시장에도 진출키로 했다. 포스코ICT는 지난 2010년 포스코LED를 자회사로 설립하고 국내외 LED 조명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신성장동력'과 '해외진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전략이 '대세'로 자리잡는 추세다.


한 IT 서비스업체 관계자는 "공공부문 IT서비스 시장은 막힌 데다 금융IT 분야는 수익이 거의 없다"며 "올해 신사업과 해외진출에서 얼마나 성과가 나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실적이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올해부터 삼성SDS, LG CNS, SK C&C 등 대기업 계열 IT 서비스 업체들의 공공부문 IT서비스 사업 수주를 전면 제한하고 있다.

관련기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1년 7월 말까지 대기업 계열 IT서비스사의 공공부문 IT사업 수주 규모는 총 1조3,000억이 넘었다. 금융 IT의 경우 "대규모 사업이긴 하지만 수익이 많지 않고 기존에 구축한 프로젝트를 유지 보수하는 정도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는 게 또 다른 관계자의 설명이다.

덩치가 작은 IT서비스 업체들은 상황이 더 어렵다. 대기업이 못 맡게 된 공공분야의 일감이 일부 중견사로 몰리면서부터다. 한 관계자는 "오히려 대기업 IT서비스 계열사와 소기업들이 협력할 때는 계약조건이 좋았는데, 중견 기업들과 함께 사업을 하면 공기가 지연되거나 단가를 더 적게 받는 경우가 많다"고 호소했다. 이들 역시 신사업 발굴과 해외진출이 절실하지만 기업 규모상 그럴 만한 여력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다.

이 같은 여건에도 불구하고 국내 IT서비스 시장은 전반적으로 성장할 전망이어서 수주에 제한을 받는 업계는 속이 타고 있다. 한국IDC는 올해 국내 IT서비스 시장이 전년보다 4.1% 성장한 7조7,815억원 규모로 내다봤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