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중기 부담 144억 줄어든다

신용평가 등 기업대출 수수료 7종 폐지<br>금리 공시체계 세분화<br>은행 선택권도 넓어져

올해부터 신용평가수수료 등 기업대출 수수료가 대거 폐지돼 중소기업의 수수료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대출금리 공시 체계도 세분화돼 중소기업의 은행 선택권이 확대된다.

금융감독원은 2일 중소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올 1∙4분기까지 국내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관련 수수료 7종을 없앤다고 밝혔다.

폐지되는 수수료는 ▦신용평가수수료 ▦기술검토수수료 ▦사업성평가수수료 ▦채무인수수수료 ▦담보변경수수료 ▦기성고확인수수료 ▦매출채권매입수수료 등이다.


수출환어음, 외화현찰, 지급보증서 발급 등 수신∙외환∙증명서 발급과 관련한 수수료 12종도 각 은행의 자율적 판단에 따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관련기사



지난해 국내 은행이 주요 수수료 7종으로 벌어들인 수익은 149억7,400만원이다. 이 중 96.1%에 해당하는 143억9,000만원을 중소기업이 부담했다.

이에 따라 이번 수수료 폐지로 중소기업의 연간 수수료 부담 경감 효과는 최소 144억원 이상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기업 대출금리 공시를 세분화하고 은행별 기준∙가산 금리도 추가로 공시해 기업의 선택권도 강화된다. 보증부대출은 물적담보대출(보증서 이외에 부동산∙증권∙동산 등을 담보로 한 대출)과 신용대출(담보 없이 취급된 대출)로 세분화해 공시하도록 개선했다.

국내 은행들은 지난해 10월부터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 중소기업 대출 관련 보증비율별∙신용등급별 금리 현황과 금리구간별 취급 비중을 공시해왔다. 하지만 비보증대출의 경우 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구분하지 않아 각 대출의 금리를 비교하기가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이와 함께 오는 3월부터는 중소기업 대출 비교공시시스템에 은행별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도 추가로 공시해 중소기업의 선택권을 강화한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