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71년 후 남한 전역 아열대 기후로 바뀐다

국립환경과학원, 장기생태연구 결과…생태계는 이미 이상징후 ‘뚜렷’


한반도 연평균 기온이 점차 상승해 2071년 이후 일부 고산지대를 제외한 남한 전역이 아열대 기후로 바뀔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9일 ‘2010년 국가장기생태연구사업’에서 이같은 결론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과학원은 한반도 생태계 변화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생물다양성 보전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2004년부터 19개 연구지역에서 육상ㆍ담수ㆍ연안ㆍ동물 등 4개 분야의 생태계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그 결과 2071년 이후 백두대간의 일부 고산지대를 제외한 남한 전역이 연평균 기온 16~18도인 아열대 기후에 들어설 것으로 과학원은 내다봤다. 현재 한반도는 온대기후를 보이고 있다. 온대기후 지역은 제일 추운 달의 온도가 영하3~영상18도다. 과학원에 따르면 2011~2040년에는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안 일부가 2041~2070년에는 제주도ㆍ남해안ㆍ서울ㆍ대구ㆍ서해안 일부가 아열대 기후대에 포함될 것으로 분석됐다. 연강수량이 1,600㎜ 이상 되는 지역도 현재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 지역에서 2040년 이후 강원도 및 남해안, 그리고 제주도 전역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자연 생태계는 이미 기후변화 등의 요인으로 이상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게 과학원의 설명이다. 실제로 지리산 남서 지역 구례군 토지면(해발 약 400m)의 숲을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모니터링 한 결과 온대수종인 소나무의 밀도는 18% 감소했지만, 난대 수종인 비목나무와 때죽나무는 각각 460%와 150% 증가했다. 또 도심지역인 서울에서도 생태계 변화가 진행돼 1998~2010년 서울에 서식 중인 까치의 개체군 번식 성공도가 모두 높아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