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풍력산업 구조조정 '칼바람'

공급 과잉으로 수익 악화<br>사업 철수·매각 등 잇따라

최근 공급 과잉 및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중국의 풍력산업에 거센 구조조정의 태풍이 휘몰아치고 있다. 24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최근 몇 년새 중국 정부의 토지ㆍ세제 감면혜택 등 육성책에 힘입어 풍력 터빈업체들이 우후죽순 탄생했지만 발전수요가 제대로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심각한 수급불균형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핑안증권에 따르면 중국 풍력 터빈업체의 올해 발전 용량은 총 29기가와트에 이르는 반면발전 수요는 15~18기가와트로 절반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풍력에너지협회의 슈펑페이 부회장은 한 행사에서"지금 중국의 풍력설비 시장에서는 업체들이 파격적인 공급가 할인에 나서는 등 치열한 적자생존 현상을 빚고 있다"며 "현재 80여개가 넘는 풍력설비업체중 3~5년내에 10개 미만의 회사만 살아남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미 수익성 악화를 견디지 못해 사업을 아예 접거나 외부에 매각하는 등 시장에서 철수하는 기업들도 속출하고 있다. 선전의 통신장비업체인 티앤진신마오 그룹은 추가 손실을 감당하기 힘들다며 지난 6월에 풍력설비 계열사를 매각하기로 결정했으며 상하이의 가전업체인 하얼빈에어콘도 풍력설비 계열사 사업을 포기하기로 했다. 당국도 업체들의 난립에 따른 시장질서 붕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는데다 터빈 제품의 품질수준까지 떨어지고 있다고 판단, 신규시장 진입을 규제하는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유도할 방침이다. 다이와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는 풍력터빈의 품질 문제로 27차례나 풍력발전소가 멈춰서는 사태를 빚었다. 여기다 중국의 전력망이 제대로 갖춰있지 않아 풍력발전으로 만들어진 전력을 전기 수요가 많은 도심지역으로 제대로 배송하지 못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력망 확장에 걸맞는 속도로 풍력 발전시장 성장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