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동부 정상화에 '8000억 신디케이트론' 암초

신보 "해결 안되면 회사채 차환 거부" 산은과 마찰

동부그룹 정상화에 새로운 돌발변수가 나타났다. 핵심 계열사인 동부제철이 채권단에서 빌린 8,000억원 규모의 신디케이트론(협조융자) 상환을 놓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 신용보증기금이 마찰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회사채 신속인수 참여기관 중 가장 많은 물량을 떠안아야 하는 신보는 채권단이 예정대로 다음달부터 신디케이트론 상환에 들어갈 경우 동부제철의 회사채 차환발행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산은은 신보의 이 같은 주장을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입장이어서 자칫하면 동부그룹 정상화 작업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금융계에 따르면 산은은 지난 19일 동부제출이 다음달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 1,050억원에 대한 차환지원동의서 접수를 완료할 예정이었지만 신보와 금융투자 업계(회사채안정펀드)의 반대로 무산됐다. 차환을 결정하려면 채권은행(산은)∙신보∙금투 등 차환발행심사위원회에 참여하는 3개 기관의 만장일치 동의가 필요하다.


신보는 동부제철이 당진제철소 건설을 위해 산은 등 은행에서 빌린 8,000억원의 신디케이트론 상환시기에 문제를 제기했다. 동부제철은 이달 말 35억원을 시작으로 분기마다 300억~400억원을 갚아야 한다. 신보는 유동성 부족 때문에 신속인수제에 참여한 동부제철에 대해 채권단이 만기라며 자금을 회수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봤다. 자산매각 등 자구노력에 시간이 걸리는 만큼 채권단이 신디케이트론 상환시기를 2016년 이후로 미뤄주라는 것이다. 신보 관계자는 "채권단이 상환에 들어가면 회사 입장에서는 부족자금이 생기는데 이를 메워줄 방안이 없다"면서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차환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채권은행인 산은은 펄쩍 뛰었다. 당초 신디케이트론 만기는 지난해 말이었지만 올해로 1년 연장해 다른 채권은행이 만기연장에 찬성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산은 관계자는 "약정에도 동부제철이 회사채 신청 전에 빌린 돈은 상환할 수 있도록 했는데 신보가 이제 와 다른 얘기를 한다"면서 "신보의 반대로 차환발행이 물거품이 될 위기"라고 전했다.

신디케이트론은 산은과 정책금융공사가 각각 2,500억원으로 가장 많고 농협 1,000억원, 신한은행 900억원, 우리은행 400억원, 하나은행 700억원 등이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