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부실판정' 저축銀 4~5곳 안팎 될듯

당국 "생각보다 많지 않을것"


저축은행 경영진단 결과 부실판정을 받는 업체가 예상 외로 적어 적기시정조치 대상이 되는 곳은 4~5개 안팎에 불과할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25일 "영업 중인 전체 저축은행 가운데 20%가 적기시정조치 대상이었지만 이중 80%는 오는 9월 말까지 대주주 증자를 통해 부실에서 벗어나도록 할 예정"이라며 "경영진단은 저축은행을 살리려고 하는 것이지 죽이려는 게 아니다"라고 밝혔다. 현재 영업을 하고 있는 저축은행은 97개로 20%면 20여개가 해당된다. 금융당국은 지난 7월 초부터 3~6주 일정으로 전국 85개 저축은행을 검사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5% 미만인 곳은 부실업체로 분류해 적기시정조치를 내린다. 업계 안팎에서는 감독당국이 원칙에 따라 강도 높은 검사를 하면서 문을 닫는 저축은행이 다수 나올 것으로 봤다. 그러나 당국이 업계의 건의를 받아들여 대손충당금 적립기준을 다소 완화하는 등 수위조절을 했다. 미국 신용등급 강등으로 금융시장이 불안한 상황에서 대규모 퇴출시 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당국이 예측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금감원의 한 고위관계자는 "퇴출 저축은행의 숫자가 중요한 게 아니다"라며 "전체 저축은행을 제대로 들여다봤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부실로 문제가 되는 곳이 많지 않음을 시사한 셈이다. 다만 문제가 되는 저축은행 가운데는 대형사가 몇 곳 포함될 수 있어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형인 A사는 경영진단 결과 BIS 비율이 5% 미만인 것으로 알려졌다. B사도 감독당국이 직접 저축은행 회장에게 강도 높은 자구계획을 요구하고 있다.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 우려도 크다. 대형인 C는 경영진단 결과 BIS 비율이 5.6%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형인 D는 적자를 낼 가능성이 높고 E도 대규모 손실이 예상된다. 이번 고비는 넘길 수 있겠지만 향후 고객들의 동요를 어떻게 막느냐가 관건이라는 얘기다. 감독당국 관계자는 "경영진단 결과 문제가 되는 저축은행은 생각보다 많지 않을 것"이라며 "대주주에게 책임을 지고 증자를 시켜 부실 판정을 받는 저축은행을 최소화하는 게 감독당국의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