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올해 세계시장 공략 키워드는 '4 New'

KOTRA ‘글로벌마켓’서 포럼 신 시장ㆍ혁신제품ㆍ신재생에너지ㆍ신 소비자 제시

올해 국내 기업들이 세계시장을 공략할 키워드로 ‘4 New’가 제시됐다. KOTRA의 해외 7개 코리아비즈니스센터(KBC) 총괄센터장들은 6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글로벌마켓 포럼'에서 신 시장(New Market), 융복합·혁신제품(New Product), 신재생에너지(New Energy), 신 소비자(New Consumer)을 뜻하는 '4 New'를 통해 수출시장을 넓혀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브라질, 러시아, 아세안, 중동 신(新)시장을 선점하라= 우선 월드컵과 올림픽 특수를 맞고 있는 브라질과 러시아, 한류가 살아있는 아세안과 중동 지역에 대한 시장 선점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김두영 남미지역 총괄센터장은 “브라질 월드컵 특수를 맞아 공항 인프라 확충에만 32억 달러가 투자되고 있다”며 “우리 기업의 현지 고속철도 수주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의 건설시공능력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러시아도 2014 동계올림픽과 2018 월드컵 등 대형 스포츠 행사를 잇따라 유치하면서 대규모 인프라 확충에 들어갔다. 노인호 CIS 지역총괄센터장은 “자동차, IT 등 한국산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우리 기업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데 유리한 점이 많다”고 말했다. 한류가 각광받고 있는 아세안과 중동에서는 한류 문화가 가미된 제품이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희로 동남아지역 총괄센터장은 최근 ‘보는’ 한류가 ‘체험하는’ 한류로 진화하면서 식품, 미용 등 서비스업 분야 진출 성공사례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융복합’과 ‘혁신제품’으로 무장하라= IT 기술과 결합된 융복합 제품과 서비스도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2006년 9억7,000만불에 불과하던 미국의 IT 헬스케어 시장은 오는 2015년 349억불로 급성장하면서 IT 융복합제품인 원격진료용 모바일 기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 중동에서는 IT 융합 프로젝트 시장규모가 향후 6년 내 227억불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중국도 공공의료제도 정비로 IT 의료시장이 성장하는 등 우리 IT 수출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소비자들이 여전히 지갑을 열지 않고 있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서는 혁신제품이 얼어붙은 시장을 녹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순용 북미지역 총괄센터장은 “미국의 극심한 소비 부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며 “기존 영역을 뛰어넘는 혁신제품만이 새로운 시장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재생에너지 시장을 잡아라=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그린 프로젝트도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유망분야로 제시됐다. 조병휘 해외총괄이사는 “유럽연합(EU)는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40%를 점하고 있는 그린산업의 본고장”이라며 “우리기업이 EU 녹색 시장에 진출하면 새로운 시장 발굴은 물론 세계 최고의 녹색기업들과 기술 제휴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폴란드, 루마니아 등 동유럽 국가의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만큼 올해 발효 예정인 한-EU FTA를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오응천 중동 아프리카지역 총괄센터장은 “세계 최대 신재생 틈새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동시장을 주목해야 한다”며 “풍력과 태양열 발전 프로젝트 진출이 유망하다”고 평가했다. ◇신 소비자를 공략하라= 미국과 중국의 신세대 노년층과 중국의 20대 여성소비자, 아세안의 20~30대 젊은 소비층도 눈 여겨봐야 할 신흥 소비자로 꼽혔다. 젊게 살고 싶어하는 미국의 뉴 실버층은 미국 전체 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구매력이 높아 이들을 겨냥한 시장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는 분석이다. 중국에서도 경제력 있는 노년층이 늘면서 해외로 떠나는 의료ㆍ쇼핑관광 상품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중국 온라인 쇼핑시장에서 20대 직장여성이 소비주역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구매품목도 화장품, 의류에서 여행, 보험 등 서비스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세안 시장에서는 20~30대 젊은이들이 소비를 주도하고 있으며 브라질과 러시아에서는 신흥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국산 자동차와 LCD TV 등의 수요가 늘고 있어 이들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새로운 카드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편 KOTRA는 이날 포럼에 이어 7일 ‘이머징마켓 포럼’을 열어 아프리카, 친디아, 공공조달 등 유망시장 진출전략을 소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