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자외선 피부 손상 방지하려면


피부미인이 되기를 꿈꾸는 여성이 가장 무서워하는 피부 트러블이 자외선에 의한 기미와 잡티이다. 여성은 기미ㆍ주근깨와 잡티가 생기지 않게 하려고 자외선 차단제도 바르고 양산ㆍ모자로 햇빛을 가리려고 노력을 많이 한다. 봄 햇볕에는 며느리를 내보내고 가을 햇볕에는 딸을 내보낸다는 속설이 있다. 겨울 동안 적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됐다가 갑자기 늘어난 봄의 자외선 양 때문에 봄철에 자외선에 의한 피부 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자외선은 우리 몸에 이로운 작용과 해로운 작용을 한다. 비타민D를 합성하는 등의 자외선의 이로운 작용은 일상생활 중에 노출되는 햇빛으로도 충분하다. 자외선의 해로운 작용으로는 기미ㆍ주근깨 발생 및 악화, 자외선에 의한 잡티 발생, 피부 노화 등의 미용적 문제도 있으나 피부암의 발생 등과 같이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는 피부 질환을 유발하기도 하므로 보호 없이 따가운 햇살에 피부를 노출시키는 것은 피해야 한다. 자외선 차단크림의 차단 지수로는 15 이상이 적절한데 무조건 차단지수가 높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각자의 피부에 부작용 없이 맞는 차단제가 지수보다 더 중요하다.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주로 자외선에 의한 피부 화상 및 염증을 막아준다. 자외선 차단제를 바를 때 꼭 마음속에 담아둬야 하는 것은 한번 바른 자외선 차단제의 효과는 2~3시간이면 없어진다는 것이다. 아침에 화장할 때 바르고 3시간 후 정오에 자외선에 노출되면 무방비 상태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이다. 자외선에 대한 피부 손상을 가장 적절히 막으려면 아침뿐 아니라 정오에 한번 더 자외선 차단제를 덧발라주는 것이 필요하다. 색조 화장을 한 경우에는 본인의 색조 화장과 색이 일치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이 함유된 파우더나 메이크업 형태의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주면 도움이 된다. 구름이 끼거나 비가 오는 날, 등산이나 골프 등 야외 활동을 할 때에는 꼭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 줘야 하며, 장시간 운전 중에도 차창을 통해 자외선A가 통과하므로 자외선A도 차단되는 제품을 발라줘야 한다. 그러나 일상적으로 아침에 출근해서 저녁에 퇴근하는 직장 여성의 경우 하루 동안 노출되는 자외선 양이 미미하기 때문에 차단제를 꼭 바를 필요는 없다. 형광등 내의 자외선이 피부 손상을 주는 일은 없으므로 실내에서는 창가에서 근무하지 않는 한 자외선에 의한 피해는 거의 없다. 자외선 차단제에는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들어가기 때문에 피부에 맞지 않아 가려움이나 여드름을 유발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본인의 피부에 맞는 자외선 차단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