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방사성 요오드, 전국 12개 측정소서 극미량 검출

원자력안전기술원, 연간 선량한도의 1/20만~1/3만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 여파로 서울 등 우리나라 여러 지역에서도 요오드 등 방사성 물질이 극미량 검출됐다. 윤철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은 29일 브리핑에서 "28일 전국 12개 측정소에서 공기를 채취ㆍ분석한 결과 모든 곳에서 극미량의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다. 하지만 극미량이어서 인체 위험 가능성까지 연결하는 것은 불필요한 불안이며, 국민 생활에 조금의 변화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술원에 따르면 검출된 방사성 요오드(I-131)의 농도는 공기 1㎥당 0.049~0.356밀리베크렐(m㏃)로 광주가 가장 낮았고, 서울이 가장 높았다. 이를 인체가 쪼이는 방사선량(피폭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인 1밀리시버트(1mSv)의 1/20만∼1/3만 정도다. 12개 측정소 가운데 세슘이 검출된 곳은 춘천 1곳 뿐이었으며 세슘-137(Cs-137)이 0.018m㏃/㎥, 세슘-134(Cs-134)가 0.015m㏃/㎥ 확인됐다. 두 세슘 원소를 합쳐도 피폭방사선량이 일반인 연간 선량한도의 1/8만 수준에 그친다. 방사성 제논의 경우, 지난 26일 채취한 시료에서 최대치(0.878㏃/㎥)를 기록한 이후 12시간 간격으로 0.464㏃/㎥, 0.395㏃/㎥ 등으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기술원은 요오드와 세슘 역시 앞서 발견된 제논과 마찬가지로 캄차카반도→북극→시베리아를 거쳐 유입된 것으로 추정했다. 브리핑에 참석한 김승배 기상청 대변인은 "우리나라에 앞서 중국 헤이룽장성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것도 이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유희동 기상청 예보정책과장은 "일반적 대기 흐름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2~3주 걸리지만, 저기압 형성과 함께 (방사성 물질이) 위로 들어올려진 뒤 편서풍을 타고 이동했다가 고기압을 만나 땅에 떨어지는 과정을 거치므로 언제 어디에 더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술원은 최근 서울ㆍ춘천 등에 내린 빗물을 시료로 방사능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속보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