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글로벌 신약 개발에 6,000억 투입

"年 매출 1兆 3개이상 창출"

정부가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한 '범부처 전주기 신약개발 사업'에 9년간 6,000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10개 이상의 글로벌 신약을 개발하고 세계시장에서 연매출 1조원 이상의 블록버스터 신약을 3개 이상 창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식경제부ㆍ교육과학기술부ㆍ보건복지부는 3개 부처 공동으로 23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공청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사업안에 대해 국내 산학연관 신약개발 관계자들로부터 광범위한 의견을 수렴한다고 22일 밝혔다. 범부처 전주기 신약개발 사업은 기존 국가 신약개발 연구개발(R&D) 시스템의 고질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업기획 단계부터 최종 목표관리 단계까지 전영역에 걸쳐 3개 부처 공동으로 기획됐다. 이에 따라 3개 부처가 함께 예산을 투입하는 하나의 사업단을 구성ㆍ운영해 유망 신약개발 과제에 대한 기획 및 평가를 수행하며 부처 간 협의ㆍ조정기구를 통해 이견을 조율하게 된다. 기존에는 후보물질 단계까지는 교과부, 전임상ㆍ임상단계는 지경부와 복지부가 지원함에 따라 신약개발의 전주기를 연속적으로 지원하기 어려워 개발지연을 초래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국내외 기관들이 자체 개발 중이거나 각 부처가 지원하는 신약 아이템 가운데 성공 가능성이 높은 우수한 과제들을 발굴해 집중 지원할 것"이라며 최소 1조9,000억원에서 최대 9조8,00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정부가 신약개발에 적극 나서는 것은 많은 투자비와 오랜 투자기간에 비해 성공률이 낮아 기업들의 신약개발 R&D 투자가 부진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사업추진 과정에서 경쟁력이 없는 과제에 대한 조기퇴출 시스템(Killing system)과 유망 과제에 대한 조기도입 시스템(Adopting system)을 동시에 가동해 성공확률을 높일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