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미니공항 건설계획 백지화

건설교통부가 울릉도 등 전국 10여 곳에 미니공항을 건설하겠다던 계획을 백지화했다. 건설교통부는 교통개발연구원의 경비행장(미니공항) 개발계획 용역결과를 토대로 경비행장 건설을 제안한 지자체들과 함께 본격적인 사업에 나설 계획이었으나 항공시설이 이미 공급 과잉인 상황에서 추가 예산을 투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판단에 따라 사업추진 계획을 백지화했다고 26일 밝혔다. 미니공항은 길이 1㎞ 전후 활주로에, 50~100인승 이하 항공기가 운항되는 규모. 지금까지 미니공항 건설의사를 직ㆍ간접적으로 밝힌 지자체는 대전시와 충남 보령시, 울릉도, 경북도 등 10여곳. 건교부는 섬 지역 등 육상교통을 이용한 접근이 어렵거나, 항공수요가 많고, 항공편을 이용할 경우 육상교통을 이용하는 것보다 이동시간이 크게 축소되는 지역에 우선 경비행장을 건설한다는 계획이었다. 특히 인천, 김포, 김해, 제주 등 권역거점 역할을 하는 중추공항과의 연계성을 최대한 높여 효율적인 공항체계를 구축하고 항공서비스 수혜대상을 확대하겠다는 것도 미니공항의 추진 배경이 됐었다. 건교부가 미니공항 건설계획을 전면 백지화하기로 한 것은 고속철도 개통이후 국내 항공수요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항공시설은 공급과잉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건교부가 자체 파악한 자료에 따르면 오는 4월 고속철도가 운행을 시작하면 국내선 항공수요는 김해공항 20%, 대구공항 65%, 포항공항 13%, 울산공항 13%, 사천공항 5% 등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 건교부 관계자는 “최고 1,000억원 이상이 투입될 경비행장을 추가로 건설하는 것은 중복투자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홍준석기자 jshong@sed.co.kr>

관련기사



홍준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