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 자구방안] 정부·채권단 해법

[현대 자구방안] 정부·채권단 해법"투명성 높이면 자금 무한지원" 현대유동성 문제에 대한 정부와 채권단의 해법은 「시장으로부터의 신뢰회복」이라는 말로 요약된다. 그룹의 투명성이 해결되면 금융기관과 그룹의 공생(共生)차원에서 무한 자금지원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연수 외환은행부행장은 시장신뢰 회복의 방법중 하나가 결합재무제표상의 투명성이라는 점을 중시, 현대측에 조기제출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당초 7월말까지 제출토록 돼있는 결합재무제표를 조기에 제출, 시장으로부터 그룹의 실질적인 재무상황을 심판받으라는 요구다. 채권단은 나아가 결합재무제표상의 부채비율을 200%밑으로 낮추는 획기적인 자구대책도 요구해나갈 방침이다. 계열분리 및 매각대상 회사를 조기 정리하는 것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른바 「현대 계열 구조조정 가속화 방안」이 그것이다. 외환은행은 이와함께 단기유동성 문제를 겪고 있는 현대건설과 현대상선의 자구대책도 강도높게 주문했다. 현대건설측에는 보유유가증권 매각계획 및 일정 보유부동산 매각계획 및 일정 연말까지 자금부족 예상액에대한 자금조달 계획 이라크미수금(9,731억:8억5,000만달러)회수대책 등을 요구했다. 또 현대상선에는 보유유가증권 매각계획 및 일정 보유선박 매각계획 및 일정 연말까지 자금부족 예상액에 대한 자금조달 계획 등을 마련해주도록 했다. 현대건설이 연내 5,800억원 규모의 유동성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이상, 이행이 쉽사리 이뤄지지 않으면 채권단이 나서 유가증권 등을 매입해주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채권단은 현대그룹의 유동성 문제가 사그러들지 않을 경우 서산농장(장부가 6,000~7,000억원 규모)을 담보로 내놓도록 요구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정부와 채권단은 지배구조 등 소프트웨어 부분에 대해서도 시장의 신뢰회복이 절실하다고 보고 있다. 현대그룹에 대한 시장의 불신이 파생된 단초중 하나가 「왕자의 난」으로 일컬어지는 지배구조 문제에서 출발했다고 보는 것이다. 금융감독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정주영명예회장의 퇴진과 함께 그룹이 공표한 사외이사 50% 이상 구성 등이 조기에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시장의 신뢰를 얻기위한 상징적 부분중 하나로 현대투신을 들었다. 현대가 신뢰를 잃어버린데는 현대투신의 잘못된 경영도 일조를 했다고 보는 셈이다. 그는 지난 26일 현대투신주총에서 이익치회장과 이창식사장이 유임된 것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고 밝혔다. 불법경영으로 법의 단죄까지 받았다면 「도의적 차원」에서 물러나는게 순리라는 설명이다. 현대측의 이같은 자구방안이 이뤄질 경우 정부와 채권단은 현대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회복시키기 위해 무한 자금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위해 주요 계열사 일일 자금동향 파악작업에 들어가 CP(기업어음)와 회사채 만기연장 현황 및 현대건설·현대상선 및 재무구조 취약 계열사의 교환결제상황 등을 중점 파악하고 있다. 외환은행은 또 주요계열사의 현금흐름 및 수익성 전망을 파악하는 한편 계열사들의 예수금과 투자유가증권 등의 유동성 문제도 파악하기로 했다. 사후관리측면의 대책에도 나설 예정이다. 지난해까지 5대그룹의 재무개선을 옥죄기 위한 제도적 장치인 재무구조개선약정이 만료된 만큼, 현대의 「구조조정 가속화방안」을 강제화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마련이 필요하다는 판단때문이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이행점검 장치를 마련하지는 않았지만 은행법상 주채권은행의 역할을 원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은행법상에는 주채권은행의 의무로 기업의 건전경영을 유도, 문제가 생기면 주채권은행이 나서서 채권단의 의견을 조율하도록 돼 있다. 현대의 고강도 자구계획을 월별로 점검,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때는 곧바로 여신회수 등 공동 금융제재 방안에 착수하는 방안을 명문화하는 것도 검토중이다. 김영기기자YGKIM@SED.CO.KR 입력시간 2000/05/28 17:48 ◀ 이전화면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