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정세변화로 개성공단 축소·중단 불안감"

기업들, 정부 확실한 대책 촉구<br>통일부 "흔들림없는 지원" 간담회 나서

최근 국내외 정세변화 등으로 크게 불안해 하고 있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부가 직접 간담회를 갖기로 하는 등 사태진정에 나서기로 해 주목을 끌고 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그러나 이 자리에서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에 대비해 정부측에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는 방침이어서 정부의 대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통일부는 오는 8월 2일 신언상 차관 주재로 입주기업 대표들과 오찬을 겸한 간담회를 갖고 개성공단 사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수위가 높아지고 있고 한미 FTA협상에서도 '한국산 인정'불가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면서 개성공단내 기업들뿐 아니라 입주를 추진해온 업체들도 매우 흔들리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개성공단기업협의회 회장사인 로만손을 비롯해 삼덕통상ㆍ태성산업ㆍ아트랑ㆍ에스제이테크 등 30여개사가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미사일 발사 직후인 지난 10일에는 고경빈 개성공단사업단장이 업체들과의 간담회를 갖고 개성공단 사업에 대한 정부측의 변함 없는 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 김기문 개성공단기업협의회 회장은 "개성공단에서 공장을 가동하고 있는 시범단지 15개 업체를 포함해 본단지 24개 입주 업체들은 정상적으로 생산 활동을 하고 있지만 하루가 다르게 외부 환경이 변하면서 동요하는 모습이 감지되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불안해 하는 상황에서 혹여라도 사업을 철수하는 사례가 나오면 남북경협 성공모델이라는 중차대한 국가적 과제에 차질이 빚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협의회 차원에서도 책임 있는 당국자와의 면담을 요청하고자 했는데 사태가 급박하게 진행되면서 통일부에서 먼저 간담회 자리를 제안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와 관련, 개성공단기업협의회는 입주업체 39개사를 대상으로 정부측에 제안할 의견을 수집해 대책마련을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이원섭 협의회 부장은 "아직까지 구체적인 피해사례가 나온 것은 아니지만 입주기업들이 협력업체나 거래은행으로부터 개성공단 사업과 관련한 우려를 많이 듣고 있는 만큼 향후 사업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에 정부측이 어떤 환경 변화 속에서도 개성공단 사업을 확실히 끌고 가겠다는 약속을 받는 데서 한 발 더 나아가 피해 사례가 나올 경우에 대비해 남북경협자금을 통한 대출이나 피해보상 등 구체적인 준비에 나설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일부에서는 정부가 뚜렷한 대안도 없이 대내외 환경에 끌려다니다 결국 개성공단 사업을 축소 내지는 전면 중단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개성공단 입주업체 A사의 한 인사는 "정부가 개성공단 사업에 너무 안일하게 대응하는 것이 아니냐는 게 입주업체 대부분의 생각이다"며 "특별한 대책도 제시 못하면서 매번 간담회만 개최하며 주변상황에 동요하지 말고 사업에 몰두하라는 당부에만 그치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입주업체 B사의 관계자도 "사실 최근 부각되는 개성공단 원산지 문제의 경우 입주업체들은 처음부터 알고 있어 나름대로 대처해왔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라"며 "가장 중요한 것은 급속히 냉각되는 남북관계와 미국측의 부정적 시각을 원만하게 해결하려는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개성공단 입주를 추진해온 N사 L사장은 "현재의 남북관계 상황에서 150억원 이상의 투자가 예상되는 개성공단 입주는 망설일 수 밖에 없다"며 "수출입은행이 지원하는 입주기업의 손실보존 한도를 50억원에서 100억원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 없다면 투자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