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수능 소홀 감독관 자체조사 후 징계"

"감독교사 졸았다" "수험표 대조도 안했다" 인터넷 고발 잇따라 <br>서울시 교육청, 수능감독 강화책 마련키로

수능시험 때 감독관들이 제대로 감독을 하지 못했다는 수험생들의 불만이 잇따르자 서울시 교육청이 수능감독 부실 감독에 대한 대책 마련에 본격 나섰다. 공정택 서울시교육청 교육감은 24일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감독관들의철저한 수능시험 감독이 선행됐다면 수능부정이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제보나자체 조사를 바탕으로 철저한 조사를 거쳐 문제가 있다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답했다. 공 교육감은 서울의 경우 "이번 수능시험은 어느 때보다 깨끗하게 이뤄졌다고판단한다"면서도 "그러나 홈페이지 등 인터넷을 통해 제보가 잇따르고 있는 만큼 자체 조사를 거쳐 교육인적자원부 지침 등에 소홀했다고 판단되는 감독관에 대해서는징계를 비롯한 행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 교육감의 이러한 방침은 광주 등지에서 터진 수능 부정행위의 원인으로 학생들의 잘못 외에 감독관들의 관리소홀이 한몫 한 것 아니냐는 판단이 작용한 데 따른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시 교육청은 수능시험 감독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설계획이다. 시 교육청 홈페이지에는 한 수험생이 고사장을 구체적으로 거론한 후 "어떤 선생님은 `만약 휴대전화를 내지 않으신 분은 꺼주세요'라고 말했다"며 "휴대전화를맡겨도 되고 안 맡겨도 별 상관이 없는 투였다"고 꼬집었다. 이 네티즌은 또 "저희 반에서 감독하시는 선생님들은 모두 신문을 보거나 졸았다"며 "다른 지역에서 (광주보다) 더 치밀한 방법으로 커닝을 한 사람들이 많을 것이란 생각에 억울하기 그지 없다"고 울분을 토했다. `수능 본 사람'이라는 네티즌도 "수리영역 시간에 들어온 선생님은 아예 결시자의자를 뒤에다 갖다놓고 주무셨다"며 "대리시험을 치고 커닝한 학생들도 잘못이지만제대로 감독하시지 못한 선생님들도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들어오시는 감독 선생님들 중에 수험표랑 신분증 보신 선생님들이 거의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수능시험 감독관들의 어려움도 이해할 수있지만 10년이 넘게 고생해 온 정직한 수험생들의 권리가 우선일 것"이라며 "수능시험이 끝난 지 일주일이 넘었지만 문제점을 확실히 파악해 내년부터는 이를 적극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