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새 영화] '트로이' 줄거리 엉성… 스케일만 웅장



21일 개봉하는 영화 ‘트로이’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고대 그리스 문학작품인 호머의 ‘일리아드’를 원작으로 한 작품. 따라서 ‘일리아드’의 내용을 대강이라도 아는 관객이라면 굳이 영화를 보지 않아도 그 줄거리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은 미케네를 중심으로 동맹을 맺으면서 바다 건너 트로이 왕국과 대립한다. 그 와중에 스파르타는 미케네 동맹을 탈퇴하고 트로이와 동맹을 맺는다. 이에 트로이 왕자들은 외교사절로 스파르타를 찾지만, 동생 ‘파리스’(올란도 블룸)는 스파르타 왕비 ‘헬레네’(다이앤 크루거)와 사랑에 빠져 함께 귀국한다. ‘파리스’에게 아내를 빼앗긴 스파르타의 왕 ‘메넬레오스’(브렌든 글리슨)는 미케네의 왕이자 그리스 연맹 맹주인 형 ‘아가멤논’(브라이언 콕스)에게 복수를 부탁하고, 제국 건설 욕심에 불타는 아가멤논은 총동원령을 내려 트로이와 전쟁에 나선다. 사실 탄탄한 원작을 가진 영화들은 크게 두 가지 딜레마에 빠진다. 원작의 내용을 스크린 위에 충실하게 재현하느냐, 감독의 독특한 시각으로 새롭게 재해석하느냐가 그것. ‘트로이’는 전자보다는 분명 후자에 가까운 작품이다. “신이 지켜주는 건 강한 자 뿐”이라고 포효하는 아가멤논은 인간의 끝없는 정복 욕심을 보여준다. “아폴론이 지켜줄 것”이라는 프리아모스의 말에 아들 ‘헥토르’(에릭 바나)가 “신이 활도 쏘나요”라고 대꾸하는 장면은 영화가 ‘신’이 아닌 ‘인간의 세계’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해석을 뒷받침할 ‘탄탄한 스토리 라인’은 찾기 어렵다. ‘신의 존재’를 배제한 것이 감독의 의도라 해도, 그 자리를 메우는 ‘인간적 고뇌’의 수준은 ‘신의 영역’에 한참 못 미친다. 헬레네와 파리스의 사랑, 아킬레스와 브리세이스의 사랑 또한 그 감동이 관객에게까지 전해지진 않는다. 제작비가 2억달러에 달했다지만, 각종 전투 신과 항해 장면에 컴퓨터 그래픽이 너무 많이 사용돼 영화가 강조하려 한 ‘웅장함’도 다소 빛이 바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