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유 부적응증은 유전적 원인"

美 리나 펠토넨 박사 주장우유를 마시기만 하면 설사나 복통 등 부작용이 나타나는 유당 불내성(乳糖不耐性)은 유전적 원인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 리나 펠토넨 박사는 의학전문지 '자연유전학'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유당 불내성은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인 락타제유전자 때문이라기 보다는 락타제 유전자와 같은 염색체 어딘가에 있는 DNA의 변이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펠토넨 박사는 출신 종족이 다른 236명을 대상으로 DNA 검사를 실시한 결과 유당 불내성이 있는 사람에게서는 문제의 DNA 변이가 발견되었으나 유당 불내성이 없는 사람들은 이러한 변이를 찾아 볼 수 없었다고 밝혔다. 유당 불내성이란 우유 속에 들어있는 당분인 유당을 거의 소화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이런 사람은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인 락타제를 충분히 만들어 내지 못하기 때문에 우유 등 유제품을 먹었을 경우 오심, 경련, 복부팽만, 설사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펠토넨 박사는 이러한 DNA 변이가 어떻게 유당 불내성을 일으키는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유당 불내성이 나타나려면 부모에게서 모두 변이 된 DNA를 받아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펠토넨 박사는 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DNA 검사를 실시해 봐야 할 것이라면서 이것이 확실하다면 간단한 혈액검사로 유당 불내성 여부를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개발된 유당 불내성 검사는 시스템이 복잡해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고 펠토넨 박사는 지적했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