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북­미 연락사무소 개설 ‘경제제재 완화’연계 난항/준고위급 회담

◎북 “호텔합작 이익금으로 운영비 마련”/미선 “4자회담 수락부터”… 부정적 입장북미 상호 연락사무소 개설협상이 이를 경제제재 완화와 연계시키려는 북한측의 전략에 따라 난항을 겪고 있다. 북한측은 지난 7일 북미 준고위급회담에서 연락사무소 개설에 필요한 재원마련을 위해 미국회사와 북한회사가 공동사업을 하자고 제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북한은 이어 11일 이근 외교부미주국북미국장이 워싱턴에서 미국무부 마크 민튼 한국과장과 실무접촉을 갖고 연락사무소 개설에 따른 문제와 식량지원, 대북 경제제재 완화문제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북한은 협상에서 미업체가 북한과 합작, 평양에서 호텔사업을 해 거기서 나오는 이익금으로 연락사무소 운영비를 마련할 수 있도록 미국에 요청했다. 외화난을 구실로 평양 연락사무소 개설과 미국의 대북경제제재 완화조치를 맞바꾸자는 것이다. 현재 북미 연락사무소 개설은 북한의 수락절차만 남았을 뿐 외교행낭 통과문제 등 거의 모든 쟁점들이 해결된 상태다. 북한도 김계관외교부부부장의 워싱턴 체류기간중 연락사무소가 들어설 지역을 둘러볼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은 이에 대해 북한이 4자회담을 수락해야 경제제재를 완화할 수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미국무부 니컬러스 번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미북관계에 언급, 『연락사무소 개설 합의는 4자회담의 진전 등 보다 광범위한 한반도 구도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번스 대변인은 특히 『미북관계는 전적으로 남북관계의 진전 여부에 달려 있다』면서 『만약 남북관계에 진전이 없거나, 북한이 소극적인 자세를 보인다면 미북관계에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이 이처럼 북한에 대해 어느 때보다 강경한 입장을 표명한 것은 4자회담 참여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북한군부 등 강경파에 압력을 가하고 협상파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4자회담 설명회와 북미 준고위급회담에서 4자회담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북한을 몰아붙여 오는 7∼9월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김정일 권력승계 전에 연락사무소 개설과 4자회담 성사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아보자는 것이다. 미국은 황장엽 노동당비서의 망명이 상징하듯이 북한의 불확실성과 긴장감이 갈수록 고조됨에 따라 북한정세를 현지에서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연락사무소 조기개설이 아쉬운 상황이다. 미국은 조만간 평양 연락사무소 개설문제를 최종 타결짓기 위해 대표단을 북한에 보낼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임웅재>

관련기사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