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과학벨트 대전 확정] 전문가 제언

"대덕특구와 융·복합 연구 기초과학 시너지 창출을"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가 대덕연구단지로 최종 확정된 것과 관련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비롯한 과학계 관계자들은 과학벨트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미래 성장동력 및 먹을거리 창출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16일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구원 관계자들은 대덕특구를 통해 이뤄온 많은 기초과학 인프라가 과학벨트와 연계된 융합연구로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내면서도 단기간의 성과에 치중하지 말고 기초과학의 내실을 다질 수 있는 꾸준한 지원과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명수 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장은 "과학벨트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광주 및 대구 특구와의 효율적 연계가 필요하다"며 "지역별로 특화된 기술영역을 고려해 기초원천연구에 대한 거점지구를 지정하고 대덕의 메인사이트와 성과를 공유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과학벨트를 통해 그동안 문제로 작용했던 이공계 일자리 확보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대전지역은 주변 생활 여건 등 인프라가 잘 갖춰져 해외 우수인력 유치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정훈 출연연구기관협의회장은 "현재 대덕연구단지도 융ㆍ복합 연구가 활발하지 않아 개방성에 근거한 네트워킹에 대한 지적을 받고 있다"며 "과학벨트가 어떻게 개방성을 확보할 것인가와 이를 통한 다양한 융ㆍ복합 연구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약 3,000여명에 달하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인력을 확보하는 것과 해외 우수인력을 유치하는 것이 성공의 관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연호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은 "대덕특구와 시너지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부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연구원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을 줘 행복하게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확립돼야 한다"며 "과학벨트의 근간이 된 철학이 구체적인 그림을 그려나가는데도 흔들림 없이 반영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흥남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도 "기존 대덕특구와 정부출연연과의 효율적인 연계가 성공의 열쇠"라며 "기초과학과 산업기술 융합을 통해 차세대 성장동력의 먹을거리를 찾아나가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구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이사장은 "대덕ㆍ대구ㆍ광주 특구를 연결하는 혁신클러스터 삼각체제를 확고히 함으로써 국가성장 견인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향후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개발(R&D) 성과와 중성자가속기 등 거대 과학시설 및 장비를 활용해 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강화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