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들의 충격요법은 전통적으로 구사해온 무기다. 엘빈 데그루트 라보뱅크 이코노미스트는 "유로화 출범 전 독일 분데스방크는 전격적인 통화정책으로 유명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충격요법이 구사되는 이유에 대해 필립 쇼 인베스트텍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시장에 개입할 수단은 줄어드는 데 반해 중앙은행은 여전히 시장에 영향력을 유지하고자 한다"며 "이럴 때는 시장에 충격을 주는 것이 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또 최근 금융시장의 동요를 막기 위한 '선제안내(forward guide)'가 통화정책의 트렌드이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충격요법이 효과적이라는 진단도 있다.
ECB뿐 아니라 다른 중앙은행들도 시장의 예상을 깨는 조치를 올 들어 잇따라 내놓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는 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양적완화 축소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전혀 손을 대지 않았다. 일본은행(BOJ) 역시 4월 대규모 금융완화 조치를 단행했는데 규모가 1조4,000억달러에 달하며 시장의 예상을 크게 뛰어넘었다.
반면 ECB의 충격요법에 반감도 커지는 모습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ECB 이사 23명 중 독일 출신 2명이 이사회에서 기준금리 인하에 반대했으며 이사회 구성원의 4분의1 정도가 마리오 드라기 총재와 마찰을 빚고 있다고 지적했다. 독일 일부에서는 드라기 총재가 이탈리아 출신이라는 이유로 남유럽 편향 정책을 편다는 주장도 나온다. 독일의 보수성향 경제학자인 한스베르너 신은 한 인터뷰에서 "드라기가 남유럽 국가들에 저렴한 대출을 해주기 위해 기준금리를 깎으며 유로화 시스템을 남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ECB에 대해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경제규모 1위인 독일의 반감이 커지면서 드라기 총재의 행보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ECB가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은행연합 구성과 장기대출 프로그램(LTRO)도 독일의 반대로 삐걱거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