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김정일 사망 이후] MB, 내달 방중할까

[김정일 사망 이후]<br>北과 관계 중시 中서 요구 가능성<br>방중 재검토 추진하던 우리측은 對北 대응 등 논의 필요성 커져

이명박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주석이 지난해 11월11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갖기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왕태석기자

이명박 대통령의 내년 1월 방중계획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으로 잠정 연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외교가에 따르면 불법조업 단속 중에 발생한 서해 해경 피살로 재검토되던 이 대통령의 방중계획이 김 위원장 사망에 따라 중국 측 요구로 연기될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시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북중 관계를 중요시하는 중국 입장에서 경제적 현안 처리를 위한 이 대통령의 1월 방중이 부담스럽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 대통령의 방중 계획은 지난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아세안(ASEAN)+3(한중일) 회의에서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공식초청으로 추진돼왔다. 중국 정부는 6자회담 재개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개시 등에 큰 관심을 표시하며 이 대통령을 초청했다. 하지만 12일 중국 어선의 불법조업을 단속하다 우리 해경이 사망하며 들끓는 여론으로 중국 방문 재검토 가능성이 제기됐다. 청와대 측은 당시 국내 여론을 감안해 해경피살에 대해 중국 정부의 성실한 대응이 전제돼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 위원장이 사망하며 이러한 우리 측 입장은 180도 변했다. 오히려 우리 측에서 북한 변화에 따른 중국 측의 대응 등을 감안해 방중을 계획대로 추진해야 하는 입장이다. 이제는 중국의 입장이 변수다. 하지만 이제까지 중국이 남북 간 민감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북측의 손을 먼저 들어줬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대통령의 방중을 연기하거나 취소할 가능성도 높다고 외교가에서는 지적하고 있다. 남북에 대한 중국의 이중태도는 이미 천안함 사건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북한의 소행임을 입증할 수 있는 결정적 증거가 제시된 상황에서도 중국 측은 노골적으로 북한 편을 들면서 우리 국민들을 실망시켰다. 북한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대응을 놓고도 중국의 북한 편들기는 여전하다. 북한이 지난해 말 스스로 UEP를 공개하면서 국제사회의 불안요인으로 등장했으나 중국은 "우라늄 농축이 사실로 확인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안보리 회부에는 반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