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대치동 청실1·2차 "규제 받더라도 더 못미뤄" 의지

다른 단지 대부분 중단속 사실상 '모험'…수익성 거의 없어 추진 쉽지는 않을듯

1,378가구 규모의 대단지인 강남구 대치동 청실1ㆍ2차 아파트가 임시총회를 열고 재건축 사업을 재개하기로 한 것은 시장상황을 감안할 때 의외의 결정으로 받아들여진다. 사정이 엇비슷한 대치동 은마와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 등 대부분의 중층 단지들이 지난 ‘3ㆍ30 부동산 대책’ 이후 사실상 재건축 사업을 중단한 데 비하면 이번 청실1ㆍ2차의 결정은 ‘모험’에 가깝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청실1ㆍ2차 주민들은 지난 10일 주민 임시총회에서 압도적 찬성으로 사업시행인가 신청 등 재건축 사업을 재개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규제 때문에 기약 없이 미룰 수는 없다며 규제를 모두 받고서라도 재건축을 하겠다는 ‘정면 돌파’의 의지를 밝힌 것이다. 이 아파트는 197%인 용적률을 210%로 늘리는 1대1 재건축을 추진해 왔으나 지난해 8ㆍ30 대책과 올해 3ㆍ30 대책으로 이어진 규제 탓에 다른 단지들과 마찬가지로 사업이 잠정 중단됐었다. 용적률 제한과 소형평형 의무비율, 임대주택 건설, 개발부담금, 기반시설부담금 등의 규제를 감안하면 수익성이 ‘제로(0)’가 될 것으로 계산됐기 때문이다. 실제 청실1ㆍ2차는 1,378가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31ㆍ35ㆍ43평형 모두 평수가 거의 늘어나지 않는 데다 임대주택 의무건설 규정에 따라 6가구의 임대주택을 지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전용면적 25.7평 이하인 31ㆍ35평형은 재건축 소형평형 의무비율에 따라 2억원 가까운 공사비를 들여 똑 같은 평수의 새 아파트를 짓는 데 만족해야 한다. 인근 S공인 관계자는 “재건축 수익성이 전혀 없는데도 사업추진을 강행키로 한 것은 오랫동안 지지부진했던 사업과 불편한 생활환경에 염증을 느끼는 주민들이 많기 때문”이라며 “주변 재건축 단지들이 사업을 무기한 연기한 채 ‘때를 기다리자’는 상황이어서 앞으로도 추진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청실1ㆍ2차 주민총회에서는 사업추진 반대 의견이 40여명에 불과했으나 참석을 거부한 주민 중 상당수는 여전히 사업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실아파트의 한 주민은 “재산상의 손해를 감수하며 지금 재건축할 필요가 없는데도 조합과 시공사가 평수도 늘어나지 않는 재건축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