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네티즌 43% "잘못 알면서도 무단 다운로드"

사회 경각심 제고 등 대책 필요

콘텐츠 무단 다운로드 등 인터넷 일탈 행동을 한 10명 중 4명은 자신의 행동이 민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음을 알면서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국내 네티즌 2,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0년 정보문화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42.8%가 일탈 행동임을 알면서도 했다고 답해 이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 제고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적 일탈 답변자는 10대(32.4%)와 20대(33.4%)가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으며 이어 30대(22.5%), 40대(10.2%) 순이었다. 일탈 유형으로는 콘텐츠 무단 다운로드(29.5%)가 가장 많았고 이어 인터넷 자료를 출처 없이 사용(11.4%), 성별∙직업 등 신분위조(7.8%), 타인비방(5.4%), 타인의 개인정보 오남용(3.2%) 등의 순이었다. 콘텐츠 무단 다운로드 내용으로는 음악(45.4%)과 영화∙드라마(44.3%)가 대부분이었으며 경로는 파일공유사이트(P2P)가 66.8%를 차지했다. 이와 반대로 사회적 실천행동 등 긍정적인 활동은 극히 낮은 수준을 보였다. 사회문제∙정책 토론참여(9.4%), 공익을 위한 집단행동 참여(12.5%) 등 인터넷 시민참여 수준은 초기단계였으며 인터넷매개 사회봉사(4.2%), 불건전 행동 신고(8.3%), 온라인 기부(11.0%) 등 인터넷 기반의 사회 공익적 활동도 미미했다. 행안부는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인터넷 일탈 행동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유아와 청소년 대상의 정보윤리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유아들의 인터넷 윤리교육을 위해 올해 전국의 유치원 500곳(1만명)을 '선진 인터넷유치원'으로 지정하고 이곳에 인터넷 안전교육 프로그램 및 디지털교구를 보급하기로 했다. 또 10대를 위해 정보윤리 학교순회특강(2,000회, 80만명)을 실시하고 240곳의 초∙중∙고등학교를 '정보윤리운영학교'로 지정, 올바른 인터넷 사용방법 등을 집중 지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