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리산 반달곰 '엄마'됐다

2마리 각각 새끼출산 확인… "복원사업 본격성과 의미"

지리산에 풀어놓은 반달가슴곰이 야생상태에서 출산한 사실이 최근 확인돼 국내 고유종 복원사업사에 한 획을 긋게 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 2개체가 건강한 새끼를 낳은 사실을 2월 말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반달곰 어미는 2005년 북한에서 들여와 방사한 8호와 10호로, 한 마리씩 새끼를 품고 바위굴에서 겨울잠을 자는 모습이 목격됐다. 어미는 둘 다 생후 5년이 된 개체로 초산이다. 지리산에 방사된 반달곰이 야생상태에서 교미하고 출산까지 성공한 것은 1998년12월 복원사업이 시작된 후 이번이 처음이다. 공단은 새끼들의 몸길이가 20∼30㎝에 이르고 대가리가 어른 주먹크기에 달하는 발육상태로 미뤄 이들 반달곰이 30∼50일 전인 지난 1월에 출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공단은 또 몸에 부착된 발신기를 통해 파악한 이동 정보와 곰의 생리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때 교미 시기를 작년 5∼9월로 판단하고 있다. 반달가슴곰은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이며 천연기념물 329호이기도 하다. 특히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Ⅰ에 등재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공단 관계자는 “방사된 곰이 정상적으로 먹이를 섭취하고 혹독한 동면을 거쳐 출산까지 했다는 건 자연에 적응한 것”이라며 “이는 종복원사업이 성과를 거두는 중요한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걸 의미한다”고 말했다. 공단은 2004년부터 고아가 된 새끼 반달가슴곰 27마리를 연해주와 북한에서 들여와 지리산에 풀어줬다. 이 가운데 12마리가 폐사하거나 야생 적응에 실패해 돌아왔으며 현재 암컷 9마리와 수컷 6마리 등 15마리가 자연상태로 살고 있다. 공단 관계자는 “반달곰뿐만 아니라 새끼와 함께 생활하는 동물은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등산객들은 절대 샛길을 타지 말고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