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IMF, 올 한국 성장률 2.7%로 또 하향

[추락하는 경기 그냥 둘 것인가] <br>내년 전망도 3.6%로 내려<br>올 세계 성장률 3.3% 예상


국제통화기금(IMF)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특히 "세계 경제가 심각하게 둔화될 가능성이 놀랄 만큼 높다"면서 향후 전망치를 추가로 낮출 가능성을 경고했다.


IMF는 도쿄에서 열리는 IMF-세계은행 연차총회 개막 전날인 8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의 '세계 경제 전망보고서(WEO)'를 발표했다.

보고서에서 IMF는 우리나라가 올해 2.7%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달 발표한 연례협의 최종보고서에서 제시한 3.0%에서 0.3%포인트 내린 것이다. 내년 성장률도 3.6%로 지난 보고서에서 예측한 3.9%보다 0.3%포인트 하향했다.

이에 따라 IMF의 한국 경제 전망은 지난 4월 올해와 3.5%, 내년 4.0%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 데서 약 6개월여 만에 각각 0.8%포인트, 0.4%포인트 낮아졌다.


IMF의 이번 전망치 하향 조정은 세계 경제가 당초 예상보다 실망스러운 수준의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IMF는 이번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3.3%, 내년에는 3.6%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7월 WEO의 전망치보다 각각 0.2%포인트, 0.3%포인트 낮춘 것이다.

관련기사



세계 경제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요인으로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재정위기가 꼽혔다. 또 아시아와 남미 지역의 내수부진, 미국의 성장둔화 등도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IMF는 분석했다.

IMF의 이번 전망치는 유럽 당국이 유로존 위기를 해결하고 미국이 '재정절벽(정부 지출의 갑작스러운 감소로 인한 경제 충격)' 문제에서 벗어난다는 가정하에 나온 것이다. 만약 실패할 경우 성장 전망은 더 악화될 수 있다고 IMF는 덧붙였다.

IMF는 또 선진국 경제가 침체에 빠지고 신흥국 경제가 심각하게 둔화될 경우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2%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17%라고 진단했다. 4월에는 이 같은 가능성이 4%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했었다.

국가별로는 이전 전망보다 0.1%포인트 증가한 2.2% 성장을 전망한 미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국가의 올해 전망치를 하향했다. 유로존은 -0.4%(-0.1%포인트)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일본 2.2%(-0.2%포인트), 중국 7.8%(-0.2%포인트), 인도 4.9%(-1.3%포인트), 브라질 1.5%(-1.0%포인트) 등이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