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불명확한 ‘경제민주화’가 사회 혼란 초래

한경연 토론회…”경제민주화는 독일서도 폐기된 개념”

최근 정치권의 최대 화두로 떠오른 ‘경제민주화’가 불명확한 개념으로 오용되며 사회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11일 서울 광화문 S-타워에서 개최한 ‘학문적 관점에서의 경제민주화 제대로 알기’ 세미나에서 민경국 강원대 교수는 “경제민주화의 이념적 고향인 독일에서조차 오늘날에는 경제민주화 개념을 사용하지 않는다”며 이 같이 밝혔다.


민 교수는 “독일에서 사용되던 경제민주화는 원래 사회민주주의에 뿌리를 두고, 경제적 삶에서 노동자들에게 공동참여권을 허용해야 한다는 간단한 제도를 지칭하는 말로 쓰였지만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온갖 의미로 경제민주화를 사용하고 있다”며 “이는 언어적 혼란을 넘어 사회적ㆍ정치적 혼란을 야기하고 큰 정부를 불러와 자유와 번영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면서 ‘경제민주화’라는 말을 더 이상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어 “오늘날 독일의 기업 경쟁력이 높아지고 독일 경제가 다시 주목받는 이유는 자유시장 지향적인 개혁을 펼쳤기 때문”이라며 “경제민주화가 아닌 경제자유화에 답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 두 번째 발제자로 참석한 소설가 복거일씨는 “시장경제는 모든 시민이 자유롭게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의 평등이 보장된다는 의미로, 결국 시장경제는 본질적으로 민주적”이라며 “정치영역에서건 경제영역에서건 민주주의를 결과의 평등으로 이해하는 것은 근본적인 오류”라고 말했다.

그는 또 진화의 관점에서 보면 보다 나은 제품과 기업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널리 퍼져나간다는 점에서 시장은 진화에 친화적인 기구이며, 이것이 바로 시장의 우수성의 원천이라고 주장했다. 때문에 산업구조와 기업지배구조를 포함한 시장의 현재 모습은 당시의 사회적 환경에서 존재할 수 있는 가장 나은 모습으로, 이는 선거를 앞둔 정치가들의 구호에 의해 훼손되기엔 너무나 소중한 우리 사회의 지식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