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Again, 2007" 조선업계 화려한 부활

올 147척·367억弗 수주<br>고부가 선박 집중 '대박'<br>사상최대 호황기에 버금


국내 조선업계가 화려하게 부활하고 있다. 특히 올 들어 수주한 선박의 양은 물론 질적인 측면에서도 놀라운 모습을 보이면서 앞으로도 수주대박 행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ㆍ현대중공업ㆍ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조선업계 '빅3'는 올 들어 7월 현재까지 총 147척, 367억달러어치의 선박을 신규 수주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수주 척수는 27%, 수주금액은 177%나 증가했다. 수주한 선박의 양도 양이지만 질적인 측면은 더욱 좋아졌다. 올 들어 수주한 선박의 척당 선가가 지난해의 두 배 가까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삼성중공업이 올 들어 수주한 선박의 척당 선가는 평균 3억900만달러로 지난해 척당 평균 가격인 1억2,600만달러보다 두 배 이상 뛰었다. 현대중공업이 올해 수주한 선박의 척당 평균 가격도 2억1,700만달러로 지난해(1억3,500만달러)에 비해 61% 증가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올해 척당 평균 수주금액도 2억4,300만달러로 지난해(1억3,000만달러)보다 87%나 높아졌다. 척당 선가가 이처럼 높아진 데는 벌크선과 유조선 등 저부가가치 선박을 주로 수주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 들어 드릴십과 액화천연가스(LNG)선, 대형 컨테이너선, 해양플랜트 등 고부가가치 선박을 집중적으로 수주한 것이 밑받침됐다. 올해가 수주규모나 부가가치 측면에서 사상 최고의 호황기였던 2007년에 버금간다는 평가다. 삼성중공업의 한 관계자는 "올해 고유가와 일본 원전사태 등으로 드릴십ㆍLNG선ㆍ해양플랜트 등의 발주가 늘어난데다 일반상선도 연비가 높고 친환경적인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척당 선가가 크게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올 들어 총 142억달러어치의 선박을 수주하며 연간 수주목표인 115억달러를 이미 초과 달성했다. 조선업계의 부활을 이끈 드릴십ㆍLNG선ㆍ해양플랜트 등은 국내 조선업체들이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국내 업체들의 수주대박 행진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