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진단 평가 전국서 순조롭게 진행

진보교육감 일부 시·도 자체 평가

8일 초등학교 3~5학년, 중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교과학습 진단평가가 실시된 가운데 서울 신당동 흥인초등학교에서 한 여학생이 열심히 시험 문제를 풀고 있다. /조영호기자

전국 초등학교 3∼5학년 및 중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한 '2011 교과학습 진단평가'가 8일 실시됐다. 하지만 강원ㆍ광주 등 진보성향 교육감이 있는 일부 지역은 시험을 보지 않거나 전국 공통 문제지가 아닌 자체 제작 문제지로 평가를 진행했다. 이날 강원도교육청은 도내 학교에서 진단평가를 시행하지 않았고, 광주시교육청도 관내 학교에서 진단평가 없이 정상수업을 진행했다. 광주시교육청은 대신 시험을 원하는 학교는 시교육청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e-진단평가를 활용했다. 진보교육감이 이끄는 서울ㆍ경기ㆍ전남ㆍ전북 등 4개 지역은 나머지 10개 지역과 함께 순조롭게 진단평가를 시행했다. 다만 전남도교육청은 시험 진행은 학교 자율에 맡겼지만 평가 문항을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했고, 전북도교육청은 평가 결과를 통지하지 않기로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초교 4∼5학년에 대해서는 국어ㆍ영어ㆍ수학ㆍ사회ㆍ과학 중 국어ㆍ수학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과목은 학교 자율에 맡겼다. 또 중학교 1∼2학년의 경우 개별 학생의 학습부진 요인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하고 성적은 학교별로 자체 처리한 뒤 본청에 보고하지 않도록 했다. 서울에서는 이날 중학교 9곳, 초등학교 13곳이 전국 공통 문제지가 아닌 자체 제작 문제지로 진단평가를 실시하기도 했다. 한편 진단평가에 반대해온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전국 시도교육청은 동일 문항으로 같은 일시에 치르는 일제고사형 진단고사를 폐지하라"고 요구하며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1인 시위와 거리 선전전, 체험학습 등에 나섰다. 반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교육감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시험이 일관성 없이 시행돼서는 안 된다"며 "학교자율이라는 미명하에 '학교가 알아서 하라'식으로 학교현장의 갈등을 조장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