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금호타이어 노조, 채권단에 동의서 제출 거부

"인력 구조조정 수용 못한다"<br>긴급자금 집행 불투명… 워크아웃 새 변수될 듯

금호타이어 노조가 긴급운영자금 지원의 전제조건으로 채권단이 요청한 노조동의서 제출을 거부하고 인력 구조조정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노조는 10일 오전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채권단이 요구하는 노조동의서가 노동삼권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아 현 단계에서는 서명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노조는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 자구안을 만들려고 노사가 임금ㆍ단체협상을 진행하고 있는데 사측은 대규모 구조조정이라는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며 "사측이 구조조정안을 철회하지 않으면 노조도 동의서를 쓸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노조는 이날 채권단의 조건 없는 긴급운영자금 투입을 요구했지만 설 전 자금집행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노조가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자금집행이 당분간 불투명한 상태로 워크아웃 추진 과정에서 채권단의 판단에 새로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사측이 계속 1,377명 규모의 인력 구조조정을 고집한다면 생존권 투쟁에 나설 것"이라며 "노조는 전날 열린 대의원대회에서 인력 구조조정은 절대 수용하지 않기로 입장을 정리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사측이 제시한 임금 및 단체협상안은 정리해고ㆍ임금삭감ㆍ수당축소 등을 통해 총 1,421억원을 절감하겠다는 것인데 이 제안은 노동자에 대한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지난 2년간 경영정상화를 위한 노동자의 노력에도 워크아웃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은 경영진은 부실경영의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9일 대의원대회를 열어 대의원 만장일치로 고용안정을 위해 끝까지 투쟁하기로 결의하고 쟁의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노조는 그러나 회사의 어려운 자금상황을 감안해 노동삼권 보장과 구조조정 계획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사측과 진행하고 있는 임단협을 통해 임금삭감 등 비용절감 방안과 관련한 모든 사항을 협의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금호그룹 채권단은 전날 금호타이어에 신규자금 1,000억원을 지원하고 3,000만달러 규모의 신용장(LC) 한도를 새로 열어주는 데 합의했지만 전제조건으로 노조동의서를 요구했으며 동의서에는 워크아웃 기간에 쟁의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