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4·9 총선] 3분의2가 보수진영…권력 '우향우'

무소속·친박연대 약진 '박근혜와 화합'주문<br>지역색 여전…중대선거구제등 제도보완 필요

[4·9 총선] 3분의2가 보수진영…권력 '우향우' 무소속·친박연대 약진 '박근혜와 화합'주문지역색 여전…중대선거구제등 제도보완 필요 홍재원기자 jwhong@sed.co.kr 4ㆍ9 총선에서 국민들은 보수 여당의 안정적 국정 운영을 선택했다. 한나라당이 과반수인 152석을 차지한 것은 물론 자유선진당과 한나라당에서 떨어져 나온 친박연대와 무소속 후보들을 포함할 경우 3분의2 가까이 보수 세력으로 짜여졌다. 지난 대선에서 실용과 성장을 내세운 한나라당의 이명박 후보가 압승한 데 이어 새롭게 구성되는 국회까지 보수세력이 절대 의석을 차지함에 따라 우리 사회에 우파적 기조가 확산되고 있음을 이번 선거가 확인시켜 준 셈이다. 이번 선거는 한편으로 '한나라-영남, 민주-호남, 선진-충남' 등 지역색이 여전함을 보여줘 선거 제도 보완에 대한 필요성도 다시 한번 제기됐다. ◇안정 선택, 우로 '원클릭'=유권자들은 한나라당의 과반 승리를 선택했다. 지난 대선에서 '경제살리기'를 내세운 이 대통령을 뽑은 데 이어 이를 국회가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이른바 '책임 투표' '후속 투표' 경향이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987년 개헌 이후 총선에서 보수진영의 첫 과반수 확보며 자유선진당ㆍ친박연대 등 보수 정당과 한나라당에서 탈당한 무소속 의원 등을 합칠 경우 보수 의석은 200석에 달해 의회 권력의 '우향우'가 뚜렷해졌다. ◇대안세력 부재=한나라당이 압승한 데는 민주당으로 대변되는 개혁진영이 대안 세력으로 주목받지 못한 점도 크게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올 초 200석 이상 예상했던 한나라당이 정권 초반 조각 및 공천 문제로 비판을 받으며 위축세를 보였지만 140석 규모를 자랑하던 민주당이 90석 밑으로 떨어진 점을 볼 때 한나라당에 대한 견제와 경고가 작동하면서도 유권자들이 대안 세력을 찾지 못했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김민전 경희대 정치학과 교수는 "여당을 견제하려는 심리가 강하면서도 대안세력으로서 야당이 얼마나 새로 태어났느냐에 대한 확신 또한 없었던 결과"라고 분석했다. ◇박근혜 효과=이번 선거에서는 한나라당과 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됐다. 특히 김무성ㆍ유기준ㆍ이해봉ㆍ김태환 의원 등 한나라당을 탈당한 박근혜 전 대표의 측근그룹 10여명이 당의 텃밭인 영남권에서 당선된 점과 친박연대(13석)가 약진한 점은 한나라당 지지층 상당수가 이 대통령에게 '박근혜와의 화합'을 주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국 정치의 공천 시스템에 구조적인 변화가 필요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후보의 경쟁력보다 계파 간 알력 등이 작용하고 있는 데 대한 비판이다. ◇진보세력 약화=진보세력이 세 갈래로 분화됐다. 지난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은 10석을 확보해 원내 3당으로 뛰어올랐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서는 지지표가 민노당과 진보신당ㆍ창조한국당 등으로 쪼개졌다. 민노당이 '종북 논쟁'을 거치며 분당 사태를 맞은 것에 1차적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다소 색채가 다른 창조한국당을 제외하면 진보 정당은 5석 미만의 의석에 그쳐 17대 국회에서 정책 대안을 내놓지 못한 데 대한 실망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색 여전=18대 국회도 지역주의의 벽을 넘지 못했다. 지난 대선에서 한나라당이 호남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고른 지지를 얻었지만 이번 총선에서도 각 정당이 사실상 영호남과 충청권 등을 기반으로 삼는 전략을 선택했다. 선거 전문가들은 중대선거구제 도입 등 제도적 보완을 거론하고 있다. • 경제인 당선자-비례대표 • 경제인 당선자-지역구 • 감세·규제완화등 일정대로 추진을 • 李대통령 국정운영 어떻게 • "오만하게 비칠라" 靑 '표정관리' • 총선이후 정국 전망 • 선진당 "교섭단체 구성 될까" 초조 • 민주당 "民意겸허하게 수용" 침통 • 한나라 "국민이 힘 실어줬다" 고무 • 투표율 역대 최저 "정치인 불신이 원인" • 총선 '맹장'들 숨은노력 빛 발했다 • 정몽준 차기대권 주자 '급부상' • 박근혜 운신 폭 좁아져 • 3분의2가 보수진영…권력 '우향우' • 총선이후 경제상황은… • 경기둔화, 성장으로 뚫는다 • 공기업 민영화 가속도 붙는다 • '뜨거운 감자' 대운하 수면위로 • 부동산 정책 어떻게 될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