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7월 취업자 47만3,000명 ↑, 실업자도 4,000명 증가

경기회복세 이어지지만 청년실업은 꾸준히 상승세

희망근로 등 공공일자리가 사실상 종료됐음에도 불구하고 경기회복의 영향으로 7월 취업자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만명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업자가 3개월만에 90만명을 넘어서고 청년실업률 역시 9%대 육박하는 등 고용시장의 근본적인 한계도 드러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는 2,430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47만3,000명이 증가했다. 올 들어 지난 1월 5,000명, 2월 12만5,000명, 3월 26만7,000명, 4월 40만1,000명, 5월 58만6,000명 등이었다.


통계청 측은 “본격적인 경기회복세 속에 수출ㆍ투자 증대와 제조업 부문의 지속적인 호조에 기인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산업별 취업자로는 제조업에서 23만8,000명 증가하고 보건ㆍ사회복지(17만9,000명), 사업시설관리 및 지원서비스(12만5,000명) 등도 늘어났지만 공공행정(-18만5,000명), 음식숙박업(-6만6,000명) 등은 감소했다.

6월 실업률은 3.7%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 1월 실업률은 5.0%까지 치솟았다가 2월 4.9%, 3월 4.1%, 4월 3.8%, 5월 3.2%로 대체로 감소했지만 6월 3.5%로 상승세로 돌아섰고 7월 들어서도 다시 상승했다. 실업자 수는 93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00명 늘어나며 3개월 만에 90만명을 재돌파했다.

통계청 측은 “계절적으로 청년층 및 50, 60대 구직활동 증가에 기인했다”고 말했다.

청년실업률(15~29세)은 8.5%로 지난해 같은 달과는 같았고 6월보다는 0.2%포인트 높아져 경기회복의 훈풍이 청년층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직단념자는 21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만6,000명 늘었다. 취업준비자는 61만7,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000명 감소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