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영·호남 소득격차 환란후 더 벌어져

외환위기 이후 영남과 호남의 소득증가율이 크게 벌어지는 등 지역경제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은행이 전국을 9개 지역으로 나눠 발표한 ‘인구이동으로 본 우리나라 지역경제의 동태적 특징’에 따르면 외환위기 이후 영남권은 1인당 소득증가율이 크게 늘어난 반면 호남권 및 제주도ㆍ강원도는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특히 호남권의 경우 인구도 다른 지역보다 큰 폭으로 줄어들어 지역 불균형이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외환위기 이후인 지난 97~2004년 지역경제별 1인당 소득순위 증가율을 비교한 결과 부산ㆍ울산ㆍ경남이 4.09%로 1위를 차지했고 대구ㆍ경북이 3.93%로 뒤를 이었다. 반면 광주ㆍ전남 1.93%, 전북 2.61%, 제주와 강원은 각각 1.68%와 1.56%로 전국 평균 3%를 밑돌았다. 96년과 2004년의 1인당 소득순위를 비교하면 충청권의 약진이 가장 두드러진다. 대전ㆍ충남의 경우 정부의 강력한 수도권 진입규제정책으로 기업들이 몰리면서 소득순위가 3위에서 1위로 뛰어올랐다. 충북은 2위로 제자리를 지켰다. 1인당 소득이 가장 높았던 서울ㆍ인천ㆍ경기지역의 소득순위는 4위로 밀렸다. 부산ㆍ울산ㆍ경남은 3위, 대구ㆍ경북은 5위를 기록했다. 반면 1인당 소득금액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로 8위에서 한단계 더 밀렸고 강원도는 5위에서 7위로 떨어졌다. 광주ㆍ전남은 6위로 제자리걸음이고 전북은 9위에서 8위로 한단계 올라섰다. 전국 평균을 밑도는 이들 저소득지역의 경우 인구증가율도 낮아 전북은 0.6% 감소했고 광주ㆍ전남과 강원지역은 0.3%와 0.02% 줄었다. 제주지역은 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국은행은 “경제 양극화 현상이 지역경제로 옮아가고 있다”며 “기업들이 산업구조와 지역간 비교우위 변화에 원활히 대처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