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출범

원자력발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고준위 방사능 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 처리방안 마련을 위한 공론화위원회가 진통 끝에 출범했다. 사용후핵연료 문제는 경주 방폐장 이상으로 뜨거운 감자다. 이를 반영하듯 출범 첫날부터 시민단체 추천인사들이 위원회 구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불참을 선언해 험난한 논의과정이 예고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사용후핵연료공론화위원회' 출범식을 열었다.

지난 2004년 국민적 공감대하에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안을 수립하겠다는 방향을 마련한 지 9년 만이다. 위원회는 앞으로 오는 2014년 말까지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안을 마련해 정부에 권고하게 된다.


이번 위원회는 인문사회·기술공학 분야 전문 7명, 원전지역 주민대표 5명, 시민사회단체 대표 3명 등 15명으로 구성됐다. 위원들 간의 호선으로 선출된 위원장은 홍두승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다.

관련기사



이들이 내년 말까지 정부에 권고안을 제출하면 정부는 이를 토대로 종합관리대책을 수립한다.

사용후핵연료는 방사선과 열이 매우 강한 원전 폐기물로 원전정책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제다. 현재로서는 중간저장시설 설립이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거론되지만 이를 위해서는 부지선정이라는 험난한 과정을 넘어야 한다. 홍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공론화 작업을 수행할 것"이라며 "포화상태에 이른 현재의 임시저장시설을 확장할지, 아니면 새로운 저장시설을 건설할지를 우선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