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과 6자회담 틀내 양자대화 가능"

美국무부 "한반도 비핵화 넘어 냉전구도 해체 지향"

북한 핵 문제는 단순히 북ㆍ미간 문제가 아니라 북핵 6자회담 참여국 모두 함께 논의해야 할 문제이나 이것이 6자회담 틀 내에서 북한과 각국간 건전한 양자대화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미국도 관계정상화 등 양자간 현안에 관해 북한과 양자 대화할 수 있다”고 미 국무부 관계자가 23일 말했다. 이 관계자는 워싱턴시내 내셔널 프레스센터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이제 북한은 6자회담에 복귀해 (핵 포기라는) 전략적 결정을 내려야 할 때”라며 “이 같은 전환점을 계기로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 등 단순히 한반도 비핵화 차원을 넘어 전반적인 긴장 완화를 통해 아직 한반도에 남아있는 냉전구조 해체를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6자회담은 핵 문제 해결을 1차 과제로 삼고 있으나 이 문제에서 진전이 있으면 재래식 군비 축소ㆍ미사일 문제 등도 6자회담 의제로 올려 재래식 군비의 경우 한국전 당사국간 논의하는 등 이슈마다 관계국들간 다자협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6자회담은 아시아에서 냉전 후 환경 조성을 위한 희망적 신호”라고 말했다. 국무부 관계자는 또 북한 핵에 대해 “영구적이고 투명하며 포괄적으로 해체돼야 한다”고 말하고 그동안 북한이 심한 거부반응을 보여온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해체(CVID)’라는 용어를 피함으로써 주목된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의 로스앤젤레스 연설에 대해 “북한 핵이 제거돼야 하며 6자회담을 통해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북한 핵 문제의 규정과 방법면에서 매우 뚜렷한 입장을 밝힌 좋은 연설이었으며 큰 틀에서 미국과 완전히 일치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미국은 남북간 대화와 개성공단을 비롯한 경협 등을 적극 지지하며 이 같은 남북대화가 6자회담과 매우 합치되고(congruent) 6자회담 진전에 도움이 된다(supportive)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북 강경입장의 보수 인사들이 국무부에 포진할 경우 대북 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해 “누가 국무부에 들어오든 부시 대통령의 뜻에 따라 정책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평화적 해결이 최선이라는 대통령의 뜻을 거스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